[동양일보]과수화상병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최근 충주와 제천 일부 지역에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과수화상병이 발생해 지자체는 물론 과수농가들이 비상이 걸렸다.

과수화상병은 주로 사과와 배나무에 피해를 주는 세균병이다.

나무가 불에 그슬린 것처럼 말라 죽는 국가검역병으로,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과수농가 입장에서는 위기경보 단계가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돼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과수농가들은 애지중지 키워 수확한 과일을 팔아 수십여 년간 자식 공부시키고 시집장가보낸 과수나무다.

이런 과수나무가 원인 모를 세균병에 걸려 베어내고 땅에 묻어야 한다니 애타는 농민들 입장이 말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충주 산척면 과수농가들이 과수화상병에 걸린 나무 매몰을 거부하며 정부와 지자체를 향해 개선을 요구하며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들은 과수화상병으로 인해 천직으로 삼은 과수 농사를 폐원하는 상황까지 몰려 고통스러운 심정으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고 한다.

이들 농가가 정부와 지자체에 불만을 표시하는 이유는 적극적인 방역대책과 손실보상금에 대한 개선이다.

이들은 2년 전부터 과수화상병에 대한 학습효과로 의심증세 후 폐원까지의 절차가 올해부터는 10~12일이 지나야만 폐원이 결정된다고 하니 확산세 우려로 불안하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과수화상병 확산세가 눈에 보일 정도라고 하니 과수농가들이 어떤 심정인지 충분히 이해가 간다.

또 다른 요구는 농촌 현실에 맞는 손실보상금 개선이다.

과수농가들은 과수원 폐원 이후 9~10년이 지나야만 경제성 있는 과일 수확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동안 어려운 상황에 부닥쳐질 우려 때문에 지난해와 다른 손실보상금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최소한 지난해 수준으로 손실보상금이 주어져야만 향후 다시 농사를 지울 수 있다는 판단에서 나온 주장이다.

정액보상에서 실비 보상으로 바뀐 매몰처리비용도 과수농가들로부터 불만을 사고 있다.

이래저래 과수화상병 문제로 정부와 지자체를 비롯해 과수농가 모두 피해를 보고 있는 형국이다.

수입 과일이 넘쳐나고 국내 과수산업이 존폐 갈림길에 서 있는 현 상황에서 정부가 과수농가를 위해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관심거리다.

매우 급한 상황에서는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때를 놓치면 무용지물이다.

과감하다고 느낄 만큼 과수농가들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한 정책이 필요한 시기다.

그래야만 국민이 정부를 신뢰하고 국정에 힘을 보탤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진다.

과수농가들이 바라는 정부 정책도 이런 게 아닐까 싶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