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연구원, 금강권역 닫힌 하구 비율 91%

금강하구 전경.

[동양일보 정래수 기자]금강하구의 생태 복원을 위해 금강 하굿둑을 개방해 해수를 순환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또다시 제기됐다. 수질 악화의 주원인인 하굿둑으로 인한 하천 흐름 단절로 금강호의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기준 수질은 2019년 6등급 수준까지 떨어졌다. 더 늦기 전에 자연성 회복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8일 충남연구원 이상진 수석연구위원, 김영일 연구위원, 이샘 책임연구원 등 연구진이 내놓은 인포그래픽에 따르면 금강권역의 닫힌 하구 비율은 91%(67개 중 61개)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이 가운데 충남은 34개 중 28개가 닫혀있어, 금강권역을 대표하는 하구인 금강하굿둑 개방을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충남과 전북 간 혐의를 통해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금강하구에 쌓인 퇴적토 증가와 기수역(강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곳) 상실 등으로 수질오염 가속화와 장항항 기능 저하, 수생태계 악화 등 부작용이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금강 하류지역을 중심으로 남조류 독소 문제가 대두되고, 수생태 건강성도 D(나쁨)∼E(매우 나쁨) 등급 수준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최근 낙동강 하구 수문 1개를 상시 개방해 생태계 복원과 자연성 회복의 길을 열었다"며 "이는 향후 금강하굿둑 배수갑문 개방에 따른 기수역 복원을 통해 금강하구 생태환경을 개선하고 농업 및 공업용수 이용에도 문제가 없도록 추진할 수 있는 좋은 사례"라고 언급했다.

이어 "금강하구 생태복원을 위해서는 금강하굿둑 상류 3㎞(중장기 10㎞ 확대)까지 기수역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금강하구 생태복원을 위해 금강하구 이해당사자 협의체 구축, 금강하구 복원에 따른 경제성 분석, 금강하구 개방 실증실험, 취·양수장 이전을 통한 농업 및 공업용수의 안정적 공급, 하구 복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 등 과제를 풀어나갈 것을 전북도 등 관련 기관에 제안했다.

이에 충남도 관계자는 "현재 둑 개방에 부정적인 농림부나 전북도 등도 용수공급 문제를 해결한다면 협의가 가능할 것"이라며 "주요 정당이 금강 하굿둑 개방을 대선공약에 포함한 만큼 향후 차기정부 국정과제로 채택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래수 기자 raesu1971@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