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청원 통합시 명칭 내달초 확정
오늘부터 공모․여론조사 실시…통추위 결정
충북도, 설치․지원법률안 정부입법으로 추진

곽임근(왼쪽) 청주시 부시장과 이시종(가운데) 충북지사, 이종윤 청원군수가 8일 충북도청 브리핑 룸에서 청주ㆍ청원통합시 명칭공모와 여론조사 실시에 따른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있다.<사진/임동빈>
2014년 7월 출범하는 청주․청원 통합시의 명칭이 다음 달 초 결정된다.
이시종 충북지사와 곽임근 청주부시장, 이종윤 청원군수는 8일 도청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통합시 출범을 향한 첫 단추이자 가장 중요한 절차인 통합시 명칭 선정을 위한 주민공모․여론조사 실시를 공표했다.
이 지사는 “통합시 명칭 선정에 주민의견을 최대한 반영키 위해 1차로 공모를 통해 후보군을 정한 뒤 여론조사를 벌일 것”이라며 “명칭은 이달 말이나 다음 달 초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66년 만에 청원․청주를 다시 하나로 묶는 가장 중요한 절차가 바로 통합시 명칭을 정하는 것”이라며 “명칭을 서둘러 확정해야 그 다음 단계(특별법 제정)로 넘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우선 공모는 9일~15일까지 7일간 도․시․군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이뤄진다. 주민들은 자신이 원하는 명칭을 우편이나 팩스, 방문제출 등으로도 접수할 수 있다.
주민 공모가 끝나면 도․시․군은 선호 빈도가 높은 명칭 3개 정도를 추린 뒤 전문기관에 여론조사를 의뢰한다.
여론조사는 17일~21일까지 5일 동안 청주시와 청원군 주민 각 1000명을 대상으로 ARS(자동응답전화) 방식을 통해 진행된다.
이 같은 절차를 거쳐 명칭을 1차로 선정한 뒤 통합시 출범 준비 최고 심의․의결기관인 ‘통합추진공동위원회’에 안건을 상정해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한다.
확정된 통합시 명칭은 ‘통합시 설치 및 지원특례에 관한 법률’ 제정 과정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된다.
현재 ‘청주시’와 ‘청원군’, ‘청주․청원시’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양 시․군의 청(淸)에 조상 조(祖)자를 붙여 ‘청조시’로 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지난 2010년 통합시가 된 ‘창원시’도 주민공모를 했는데 시민 2700여명이 참여했고, ‘가고파시’, ‘삼한시’, ‘바다시’ 등 이색적인 이름을 포함해 모두 839개가 나왔다.
이 가운데 가장 선호한 ‘마산시’, ‘창원시’, ‘경남시’, ‘진해시’, ‘동남시’로 압축해 여론조사를 거쳐 ‘창원시’로 최종 확정됐다.
충북도는 청주․청원 통합시의 설치근거 등을 담을 ‘통합시 설치 및 지원특례에 관한 법률’을 정부입법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 지사는 “정부입법으로 할지, 의원입법으로 할지를 행정안전부와 협의할 예정”이라며 “일방적인 방식은 정부입법을 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입법으로 할 경우 특별법 초안 의견수렴(8월)→입법예고(8월․행안부)→법제처 심사(8월)→차관․국무회의 상정․통과(8월)→국회제출(9월)→본회의 보고․상임위 회부(9월)→상임위 심사(9월)→법제사법위원회 심사(10월)→상임위 심사보고서 제출(10월)→본회의 의결(10월)→정부이송(10월)→공포(11월) 등으로 진행된다.
국회입법으로 할 경우엔 8월까지만 의원 10인 이상의 동의를 얻어 특별법(안)을 입안하면 정부입법예고와 법제처심사, 차관․국무회의 상정․통과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지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