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되지 않은 학점 포기 제도의 폐지

박거환 청주대 경영학과 4

2014-05-21     동양일보


최근 대학교는 학점 포기 제도의 갑작스러운 폐지로 홍역을 앓고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각 대학에 '성적 세탁'을 막기 위해, 학생성적 관리 개선 방안을 3월 말까지 마련해 교육부로 제출하도록 하는 공문을 지난해 12월24일 각 대학에 보내면서 이러한 갈등을 빚고 있으며, 교육부는 올 3월까지 모든 대학교에 ‘학점포기제도 폐지’를 권고 했고, 전국의 대학교에서는 학점포기제도를 폐지하고 있다.
일단 기본적으로 학점관리를 잘 하고 있어야 하는건 당연하지만, 13학번까지는 기본적으로 학점포기제도가 존재 할 때 입학한 학생들이라서 각자의 상황에 맞게 학점관리나 휴학계획 등을 세웠을 것이다.
그러나 수강신청과 정규학기 등록이 모두 끝난 뒤에야 학점포기제도 폐지가 결정된 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교육부는 제도 개선에 대해 각 대학에 책임을 맡기고 있는데, 교육부 관계자는 ‘개선 방향 및 방안 마련은 대학이 자율적으로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대학교육연구소 이소연 연구원은 ‘누구의 입장에서 보느냐에 따라 학점포기제도의 장단점이 달라, 존폐 자체의 옳고 그름을 따질 수는 없지만 교육부나 학교 측이 사전 공지 없이 갑작스럽게 제도 변경을 공지한 것은 불만을 살만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로 인해, 학교에 따라 학점포기제도의 폐지 시행과 관련 들쭉날쭉한 부분이 있어 학점포기제도를 폐지하는 학교 학생들이 ‘상대적 불이익’을 받을 이유로 더 크게 반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되었으며, 학점관리에 대한 스트레스는 더욱 커지고 실수조차 용납할 수 없는 완벽함을 강요당하고 있는 느낌이다.
또한 학점제포기제도 폐지를 나라에서 강압적으로 전문대, 4년제 등 전국 대학에 대해 일괄적으로 실시를 했다면 그나마 공평성에 대해 큰 문제로 다가오지 않았을 텐데, 그렇지 않기 때문에 학점포기제도를 폐지한대학과 그렇지 않는 대학에 따라 취업에 있어서 큰 불공평한 상황이 일어 날 것이다.
4월 6일 취업사이트 사람인이 대학생 67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1%가 ‘학점포기제도로 학점세탁을 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이다’라고 응답했다.
그 이유는 ‘낮은 학점을 지울 수 있어서’(45.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학점포기는 학생의 권리이기 때문에’(22%), ‘취업스펙 향상에 도움이 되어서’(20.8%), ‘학점취득에 대한 부담이 낮아져서’(10.7%)등의 의견이 있었으며, 응답자의 33.9%는 실제로 ‘학점포기제도로 학점세탁을 했다.’고 밝혔으며, 학점포기가 취업준비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75%가 ‘그렇다’고 말했다.
개인적인 입장으론 학교가 교육부에 건의 등을 통해 14학번부터 적용이나, 단계적 적용을 하여 학생에게 돌아가는 피해의 최소화가 1순위이지 않을까 되짚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