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지방선거 인물론보다 개헌

‘개헌 동시투표·헌법에 행정수도 명시’ 몰입

2018-02-21     신서희 기자

(세종=동양일보 신서희 기자) 4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6.13지방선거의 분위기가 달아오르고 있는 가운데 세종시는 ‘인물론’보다 ‘개헌’이다.

현직 프리미엄이 워낙 강하다 보니 공천경쟁, 전략공천 등 인물론에 대한 반응은 미지근하다.

6.13지방선거에서 ‘개헌 동시 투표·헌법에 행정수도 명시’에만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형국이다.

그나마 세종시의원 선거를 두고 인물론이 대두될 수 있지만 국회의 세종시법 개정안 처리가 늦어지면서 세종시의원 선거구가 정해지지 않아 출마예정자들은 속앓이만 하고 있다.

● 여야 선거전 돌입

설명절 이틀 전인 지난 13일부터 시·도지사 및 교육감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됐고 충청지역 여야 각 정당은 지난 14일 귀성 인사를 시작으로 지역위원회와 후보별로 지역 민심 수렴에 나서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높은 대전, 충남의 경우 자유한국당에서는 광역단체장 전략공천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등 여야가 인물론을 중심으로 선거전에 돌입했다.

● 세종 인물론보다 개헌

세종시는 인물론보다 개헌이다.

현재까지 세종시장 예비 후보 등록자는 야권 주자로 이성용 세종시민포럼 도시발전연구소장 뿐이다. 이 소장은 오는 26일 세종시청에서 출마선언 기자회견을 준비하고 있다.

야당 후보군으로 이름이 오르던 이충재 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은 지난달 29일 “정치 현실 벽 높다”며 불출마를 선언한바 있다.

지난 12일 고준일 세종시의회 의장이 세종시장 출마선언을 했지만 예비 후보자 등록은 하지 않은 상태다.

세종지역에서는 지방선거를 두고 초미의 관심은 개헌이고 헌법에 행정수도 명시다.

‘세종시의회 개헌 특별위원회는 22일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평창에서 행정수도 개헌 홍보활동을 펼친다.

이춘희 세종시장, 시민대책위, 시의회 행정수도 완성 개헌특위는 오는 28일 오전 11시 서울 국회정론회관에서 열리는 ‘행정수도 개헌 촉구’ 기자회견에 참석한다.

● 깜깜이 선거 우려

세종시의원과 관련해서는 ‘깜깜이 선거’를 우려하는 상황이다.

세종인구수가 급증하면서 지방의원 의석수가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던 세종시의 선거구 획정이 여야의 힘겨루기로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국회, 세종시 등에 따르면 이해찬 의원은 지역선거구시의회의원 정수를 13인에서 19인으로, 비례대표의원 정수를 2인에서 3인으로 하는 개정안을, 오세정 의원과 심상정의원은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각각 특례로 규정해 시의원 정수를 각각 20명과 21명으로 하는 세종시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하지만 국회가 20일 본회의에서도 선거구 획정안을 처리하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방의원 선거구 획정 논의와 무관하게 오는 3월 2일부터 지방선거 예비후보자 등록을 받기로 했다.

예비후보자들은 자기 선거구도 모른 채 선거운동을 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한 시의원 출마예정자는 “출마 희망자들이 선거구가 빨리 정해지지 않고 무산 우려까지 제기되자 속앓이를 하고 있다”며 “인구30만에 육박한 세종시의 현 실정을 고려해 합리적인 선거구별 의원정족수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