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농사정보] 밭작물 장마철 관리

2020-07-07     엄재천

[동양일보 엄재천 기자]◇벼

▶집중호우 대비 및 관리

◎사전대책

논·밭두렁, 제방 등이 붕괴되지 않도록 사전점검 및 정비를 실시한다.

배수로 잡초제거 및 배수시설 관리로 원활한 배수를 유도한다.

집중호우 예보가 있을 경우 미리 논두렁에 물꼬를 낮추고 붕괴 예방을 위해 비닐 등으로 피복한다.

침수 상습지는 질소질 20~30%를 감량하고 칼리질 20~30% 증시한다.

◎사후대책

침수, 관수 논은 서둘러 잎 끝만이라도 물 위에 나올 수 있도록 물 빼기를 실시한다.

물이 빠질 때는 벼의 줄기나 잎에 묻은 흙 앙금과 오물을 제거한다.

물이 빠진 후에는 새물로 걸러대기를 하여 뿌리의 활력을 증진한다.

침수, 관수 논은 도열병, 흰잎마름병, 멸구류 등 병해충 전용약제를 살포한다.

▶본답관리

2모작 답에서 새끼치는 초기는 일반적으로 중기 제초제를 주는 시기이므로 논바닥이 노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깊이로 물을 유지해야 한다.

중간 물 떼는 시기는 이삭 패기 전 40일부터 30일 사이에, 배수가 좋은 사양토는 5~7일간 논바닥에 가벼운 실금이 갈 정도로 하고, 배수가 잘 안 되는 점질토양에서는 7~10일 정도 비교적 오래하여 금이 크게 가게 한다.

이른벼를 심은 포장에서 이삭거름은 이삭 패기 전 15일경에 질소질 비료를 1.8㎏/10a 주거나 N-K복합비료(18-0-18)의 경우 10~11㎏/10a을 준다.

벼 이삭이 나는 시기부터 팰 때까지는 물 걸러대기(3일 관수 2일 배수)를 실시하여 뿌리의 활력을 높여 주도록 한다.

◇밭 작물

▶장마철 관리

◎사전관리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밭작물(두류, 서류, 유지작물)은 배수로를 깊게 설치하고 습답에서는 휴립재배를 실시한다.

시비는 미숙유기물 시용은 피하고 표층시비를 하여 뿌리를 지표면 가까이로 유도한다.

경사지는 토양보호를 하고 참깨는 줄 지주를 설치하여 쓰러짐을 방지한다.

◎사후관리

침수 시 조기 물 빼기 실시 및 흙 앙금을 씻어주어 동화작용을 촉진한다.

쓰러진 포기는 땅이 굳어지기 전에 일으켜 세우기를 실시한다.

퇴수 후 뿌리가 노출된 곳은 북주기 작업 실시한다.

생육이 불량한 포장은 요소비료(0.2%액) 엽면 시비한다.

침수 후에는 병충해 방제에 노력한다.

피해가 심한 경우 추파, 보식, 다른 작물 재배 등을 고려한다.

참깨 돌림병, 시들음병, 땅콩 갈색무늬병 등 병해충을 방제한다.

▶콩

북주기 작업을 김매기와 겸하여 파종 후 30~40일경에 실시하되 늦어도 꽃이 피기 10일전까지는 마치도록 한다.

- 북주기는 가운뎃 줄기의 제1본잎 마디까지 해주는 것이 좋다.

- 북주기를 하면 토양통기를 좋게 하고 뿌리 발생을 많게 하여 쓰러짐 방지와 13% 수량증대 효과가 있다.

밀식하였거나, 거름기가 많은 포장, 생육이 왕성해 웃자라 쓰러짐 피해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본엽 5~7매(개화기 전)때 순지르기를 하며 키가 작거나 늦게 심었을 경우는 순지르기를 생략한다.

콩 꼬투리가 생기고 콩알이 크는 시기에 노린재가 많이 발생하면 품질과 수량이 많이 떨어지게 되므로 적용약제로 방제한다.

▶참깨

시설 하우스 후작물 참깨 재배는 경지이용율 향상 및 염류장해 예방에 효과적이다.

- 파종시기는 7월 상순까지 이며 재식 거리는 30~40㎝×15㎝ 간격으로 심는다.

발아 초기에 발생하는 잘록병(입고병)과 수량에 치명적인 역병, 시들음병, 잎마름병 발생이 막기 위해 예방위주로 적용약제를 뿌려준다.

▶고구마

덩굴쪼김병 방제를 위하여 한발시 관수와 장마 때 배수를 철저히 하여 토양 수분과 양분 공급이 되도록 한다.

잡초가 번성하기 전에 풀을 뽑아주고 비가 와서 이랑의 흙이 씻겨 내렸을 경우에는 비닐 피복이 벗겨지지 않도록 관리한다.

▶시설채소

◎장마대비 사후대책

피복재의 흙 앙금 및 오물은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광 투과성 유지한다.

손상된 피복재는 철거 후 새 비닐로 교체하여 다음 재배작물 준비한다.

수경재배 시설이 침수 시 깨끗한 물로 씻은 후 반드시 소독한다.

※ 베드소독 시 반드시 약액을 완전히 씻어낸 후 다음 재배작물 정식한다.

침․관수 피해가 심하거나 병든 식물체는 조기에 제거하여 전염원 차단한다.

경미한 피해를 받은 포장은 분무기나 호스를 이용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적용약제를 신속히 살포하여 병해충 방제한다.

배수로를 재정비, 쓰러진 포기 일으켜 세우기, 북주기 실시한다.

뿌리기능 저하 시 요소 0.2%액 또는 제4종 복합비료 엽면시비한다.

호우피해 이후 햇빛이 강할 때는 차광망을 설치하여 일사피해 예방한다.

피해를 받아 회복이 불가능한 포장은 철거 후 조기에 다음 작물 재배한다. 충북농업기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