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유해가스 상시 감시하는 센서 개발
2020-09-01 정래수
[동양일보 정래수 기자]국내 연구진이 유해 가스를 감지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전자공학부 윤준보 교수 연구팀이 독자 개발한 나노 소재 '나노린'을 이용해 초저전력 유해가스 감지 센서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나노린은 정렬된 나노와이어(나노미터 두께의 얇은 실) 다발들이 공중에 떠 있는 구조의 2차원 물질이다.
최근 일산화탄소 등 유해가스를 탐지하는 가스 센서 소재로 금속산화물이 주목을 받고 있지만, 수백 도 안팎의 고온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등 휴대용 기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나노 소재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초저전력 가스 감지 센서를 개발했다.
나노 소재는 전기적·화학적 특성이 우수하지만 크기를 제어하기 쉽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정렬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기존 마이크로히터 대신 금속산화물 나노와이어를 히터 물질에 정렬시킨 새로운 형태의 나노히터 가스 센서를 개발했다.
나노 소재가 갖는 고유의 열 고립 효과를 이용, 기판으로 손실되는 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스마트폰에 내장하기 적합한 수준의 낮은 소비 전력으로도 일산화탄소 가스를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윤준보 교수는 "과거 광부들이 일산화탄소 감지를 위해 탄광에 데리고 갔던 카나리아처럼 유해가스 감지 센서를 '스마트폰 속 카나리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래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