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병원 항생제 관리 방안 필요
처방 적정성 낮고 항생제 사용관리 요구도 높아
[동양일보 도복희 기자]요양병원 항생제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내 요양병원의 항생제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는 반면 처방 적정성이 낮고 항생제 사용관리의 요구도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24일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발표한 ‘국내 요양병원의 항생제 사용 실태와 사용관리 인식도·요구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0~2022) 전국 의료기관 종별 환자당 항생제 사용량은 요양병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55.8%가 항생제를 사용했고, 항생제 사용환자의 85.4%가 65세 이상이었으며, 2020년 대비 2022년의 항생제 사용량은 28.1% 상승했다.
전국 요양병원의 환자군에 따른 항생제 사용량은 일상생활 능력이 저하된 의료최고도 환자가 가장 많았고, 모든 환자군에서 매년 증가했다.
전국 요양병원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계통별 항생제는 퀴놀론과 3세대 세팔로스포린 및 페니실린이었고, 2020년 대비 2022년 증가율은 카바페넴이 78.6%로 가장 높았다.
요양병원의 항생제 처방 적정성 결과 96.6%가 감염증 치료를 위해 처방됐고 감염증 치료 목적으로 처방된 항생제에 대한 처방 적정성은 35.2%로 나타났다.
항생제 처방의 부적합 사유로는 주로 항생제의 선택(38.0%)과 용량(43.9%)이 부적절한 경우로 밝혀졌다. 조사결과 요양병원에서 항생제 처방 시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항생제 사용 지침의 부재가 원인으로 파악됐다.
항생제 처방은 47.2%가 혈액검사를 참고로 했으며, 중단은 임상증상(76.4%)과 염증 수치(67.9%)의 호전 여부에 따라 결정했다.
항생제 처방 시 진료지침(46.6%)과 과거의 경험·지식(39.6%)을 참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진료지침이 요양병원 현실에 적합하지 않다고 80.7%가 응답했다.
도복희 기자 phusys2008@dy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