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농사정보
충북도농업기술원 제공
[동양일보 김민환 기자]주간농사정보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24.9~26.5도)보다 높겠다, 강수량은 평년 (17.9~64.7㎜)과 비슷하거나 많겠다.
■벼
△후기 논 관리
6월 상순 모내기를 한 중생종, 중만생종은 출수 15일 전부터 이삭 팬 후 10일까지 논물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
△병해충방제
고온 환경으로 잎집무늬마름병, 키다리병, 이삭도열병, 노린재류, 멸구류 등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적기 방제 실시
■밭작물
△콩
콩 잎줄기마름병, 노린재 등 병해충 방제, 과번무 개체 측면 순지르기
△고구마
일조 부족 또는 지상부 웃자란 경우 칼리질 비료를 엽면시비 해줌
△참깨
1모작(5월 파종)은 적기수확, 2모작(6월 파종)은 순지르기 실시
■채소
△고추
웃거름을 제때 알맞은 양을 주되 너무 많이 주지 않도록 주의
△고랭지배추·무
결구기 염화칼슘 0.3%액을 5일 간격으로 엽면 살포, 영양제 및 요소 0.2%액을 살포하여 생육 관리
△시설채소
차광 및 환풍, 포그 시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온도를 낮춰줌
■과수
△폭염기 관원관리
31℃ 넘으면 미세살수 장치 가동, 적기 물주기, 가지 유인 등 햇볕데임 피해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수세안정 위해 늦게 제거하고 피해 심하면 바로 제거
△생리장해
사과 고두병은 8~9월 비가 많이 내릴 경우 발생 증가, 수용성 칼슘 엽면살포
■화훼
△장미
여름철 잦은 강우, 고온에 따른 생육관리 철저, 집중 호우 전에 배수로 정비 등으로 시전 대비, 적용약제 사용하여 병해 관리
■특작
△인삼
고온 피해는 주로 1~2년생에서 많이 발생하므로 주의가 필요하고, 고온기 예정지 관리 시 토양살충제를 살포하고 깊이갈이를 해줌
△버섯
버섯 균이 자라는 동안은 호흡으로 인한 가스 농도가 높아지므로 수시로 환기하여 신선한 공기로 교환해 줌
△약용
고온기 흰가루병, 점무늬병, 탄저병 등의 병해와 응애, 진딧물 등 해충발생이 쉬우므로 포장을 관찰하여 조기 방제가 될 수 있도록 함
■축산
△집중호우
축사주변, 사료포 침수 대비 배수로 점검, 누전사고 예방 전기안전점검
△폭염
고온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냉방시설 가동·환기 실시, 깨끗한 물 급여
△AI·구제역·ASF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 활동 철저
■양봉
△폭염 봉군 관리
차광막 설치 등 직사광선 차단조치 반드시 실시
△양성벌 양성
당액과 화분공급을 집중적으로 하여 부족함 없도록 조치
△병·해충 관리
양봉장으로 말벌이 본격적으로 날아들기 시작하는 시기로 유인트랩 이용하거나 직접 포충망을 이용해 방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