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무선신호 없이도 치매노인·미아 찾는 GPS 시스템 개발"
[동양일보 정래수 기자]국내 연구진이 무선랜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신호 인프라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작동하는 실내외 통합 위성항법장치(GPS)를 개발했다. 전 세계 어느 건물에서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어 어린이나 치매 노인을 찾아내는 데 활용할 수 있다
KAIST는 전산학부 한동수 교수 연구팀이 무선 신호가 없는 건물에서도 동작하는 '범용 실내외 통합 GPS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휴대전화 위치 추적은 GPS나 기지국 신호를 받아 이뤄지지만, 실내에서는 위치정보시스템(GPS) 신호가 잡히지 않아 무선랜이나 블루투스 등을 이용해야 한다.
연구팀은 무선 신호가 없는 건설 현장이나 사용자의 행동반경이 넓은 공장 건물 등에서도 위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인식 서비스를 개발했다.
실내외 전환 탐지 AI 기법과 건물 출입구를 탐지하는 AI 기법을 이용, 건물 출입구, 층, 계단, 엘리베이터 등 랜드마크에서의 동작과 보행자 항법 기법(PDR·사람이 이동하는 속도·방향·거리 등을 파악해 출발 지점으로부터의 위치를 산출하는 기법)을 연계시켜 작동하는 원리다.
구체적으로 GPS 신호와 관성센서(IMU)에서 얻은 신호를 활용, 사용자가 들어가는 건물을 판별하고 건물에 진입하는 시점과 위치를 실시간으로 탐지한다.
건물 내에서는 기압과 관성센서를 활용해 계단 혹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수직 이동을 탐지하고 기압 정보를 활용해 사용자가 있는 층을 찾아내는 기법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GPS, 와이파이, 블루투스 신호 칩, 관성센서, 기압 센서, 지자기 센서, 조도 센서를 통합시킨 '위치 전용 사물인터넷'(IoT) 태그도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태그는 위성에서 직접 수신되는 신호뿐 아니라 건물에 반사되는 신호도 처리할 수 있어 LTE 신호가 제공되는 전 세계 어느 건물에서도 위치 추정이 가능하다. 정래수 기자 raesu1971@dy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