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농사정보

충북도농업기술원

2024-10-22     김민환

[동양일보 김민환 기자]주간농사정보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10.4~12도)과 비슷하거나 높겠다, 강수량은 평년 (0.6~20.7㎜)과 비슷하겠다.

■벼

△건조·저장

일반용은 45도, 종자용은 40도 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도,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땅심 높이기

볏짚 3~4등분 절단 400~600kg/10a 시용, 깊이갈이 실시

△농기계 관리

사용한 농기계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관리 실시

■밭작물

△콩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이 14% 이하로 건조, 장기저장 시 온도 5도 이하, 상대습도 60% 내외로 유지

△가을감자

예비저장은 온도를 12~15도, 습도 80~85%에서 일주일 정도 실시 본저장은 3~4도, 습도 80~85%에 보관

△보리·밀

지역별 파종시기 준수, 파종 전 종자소독으로 병해 예방

■채소

△딸기

해 지기 전후 3~4시간 동안 당을 과실로 보내야 하므로 13~15도 유지, 새벽 최저온도 5~6도 관리, 잎 따주기 최대한 자제

△마늘·양파

배수로 정비, 양파 심기 늦어진 포장 피복과 노균병 예방적 방제

△시설채소

보일러 등 난방시설 점검, 난방용 연료 준비, 환기로 적정습도 유지

■과수

△수확방법

햇볕이 잘 드는 곳부터 3∼4회 분산 수확, 수확 시 꽃눈 주의 등

△사과

장기저장용은 10월 20~25일, 단기저장·판매용은 10월30일~11월5일에 수확

△단감

컬러차트 색도가 과정부 6(등적색), 과저부 5(등황색)일 때 수확,꼭지들림과 발생이 심한 과원은 꼭지들림 발생 하기 전 수확

■화훼

△초화류

개화 조절하기 위한 전조와 단일처리 필요, 전조재배에서는 충분한 꽃대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서 전등을 비추어서 장일 상태로 만들어 개화를 억제함

■특작

△인삼

묘삼 가을정식은 봄철 노동력 집중을 피할 수 있고 모종삼의 조기 발뇌를 막을 수 있으나 상면이 건조하면 출아율이 떨어지므로 주의함

△약용

강활은 가을에 종근의 크기가 0.8cm 이하인 중묘나 소묘를 심고, 시호는 봄파종보다 가을파종의 발아율이 높음

■축산

△가축질병

농장 출입 전 소독 생활화, 울타리 점검 등 차단 방역활동 철저

△환절기

큰 일교차 대비 축사시설 방풍과 보온관리 철저, 축사 내부 청결관리

△동계사료작물

지역별 적정시기 고려 품종선택·파종(IRG, 청보리, 호밀 등)

■양봉

△월동준비

월동먹이 공급을 종료하고 보온 및 월동벌집 배치, 빈 벌집 보관, 합봉 등 월동 준비

△병·해충 관리

월동 전 응애류 최종 방제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