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주장] 생활인구 급증 태안군을 보라
2024년 합계출산율 0.74명, 출생아 수 23만8300명. 대한민국 인구와 출생자 구조다. 65세 인구가 20%를 넘어 세계 최고 수준의 속도로 인구 고령화를 맞이하는 상황이지만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기에 이제는 놀라지도 않는다.
너나없이 "대책, 대책" 해도 특별히 개선된 지표도 보이지 않는다. 중앙정부나 지자체 모두 출산장려금 확대 등 별별 방안과 대안을 내 보지만 뾰족한 해법이 되지 못하는 모양이다. 이미 출생인구 늘리기를 위해 수십년 전부터 경고의 등을 켜고 천문학적 규모의 자금을 쏟아부었으나 결과는 초라한 지경이다.
인구 절벽과 출산율 저하는 도시의 이같은 기본 기능과 장점을 따라가지 못하는 지방 군소도시에 더 큰 압박과 충격을 준다.
그런 가운데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이 최근 전국 89개 인구감소지역의 생활인구를 산정해 발표한 결과가 눈에 띈다.
생활인구는 주민등록인구와 등록외국인 등 기존의 정주 인구 개념을 넘어 ‘월 1회 이상 하루 3시간 이상 머무는’ 체류자들을 포함한 새로운 인구지표다.
지난해 3분기 태안군 체류인구가 전국 인구감소지역 중 네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로는 7월 48만1307명, 8월 71만1851명, 9월 63만3609명이었다. 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는 9.74배로, 충남 시·군 중 1위이자 전국 6위라고 한다.
태안은 충남 서쪽의 바다를 낀 반도로 해마다 여름 휴가철과 각종 축제로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 그 덕분에 생활인구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출생자 수 늘리기는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지자체가 발맞춰 나가되, 체류 인구의 유지는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한 중요한 대안이 될수 있다. 이 점에 지자체들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충남도내에서 보령시가 이미 2021년에 인구 10만이 무너졌고, 청양도 지난해 3만이 붕괴됐다.
이같은 인구 감소는 어차피 국가적 노력에 기인해야 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단기간에 증가하지 않는다. 그 가운데 당장 경제가 살고 지역이 소멸되지 않으려면 생활인구가 늘어야 하는데 이번 통계청 발표대로 태안이 그 롤모델이 될 것이다.
등록인구보다 체류인구가 많게 하는 가장 우선적 방안은 관광객 등 외지인의 발걸음을 늘리는 것이다. 숙박, 레저, 관광시설에서의 할인 혜택은 물론 장기 체류자를 위한 교통비 지원, 주거 공간 제공, 지역 내 장기 체류자를 위한 문화·교육 프로그램 도입 등 여러 가지가 있을 걸로 본다.
태안과 마찬가지로 보령시도 대천해수욕장을 끼고 있고 머드 축제 등 다양한 행사가 있어 생활인구 늘리기에 적합하다.
청양도 칠갑산을 끼고 고추 구기자 축제 등으로 인지도가 높아 서울 경기 인천 등지의 수도권 인구 왕래가 잦다.
현재 충남도내에서 인구가 적은 부여, 금산, 서천 등 군단위 지자체에서는 생활인구 증가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파급력을 감안해 전략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음식, 관광, 쇼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경제를 실질적으로 살릴수 있는 생활인구 확보와 증가를 위해 더 좋은 묘안과 지혜를 짜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