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농사정보

충북농기원

2025-05-20     홍승태 기자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17.6~18.8도)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 (8~21.3㎜)과 비슷하거나 적겠다.
■벼
△적기 모내기
지역별 알맞은 품종을 적기에 모내기해 수량 확보 및 미질 향상 도모
△거름 주기
질소질 비료의 과잉은 쌀 품질 저하의 원인이므로 적정 시비 실시
△잡초방제
모내기 전‧후 두 차례 방제하고, 처리 후 3~5cm 깊이로 5일 이상 담수 권장
△물관리
모낸 직후 7~10일간 5~7cm 깊이로 담수, 새끼 칠 때는 2~3cm로 담수 권장
■밭작물
△고구마
70~75cm로 두둑 만들기 및 비닐멀칭, 적기 정식 실시
△콩
적기 파종, 논 콩 배수구 설치, 파종 후 제초제 처리
△참깨
적용약제 이용 종자 소독, 비닐피복 및 지역별 적기파종
△들깨
노동력 절감을 위해 직파재배 실시, 재배시기 조절 및 대파작물 이용에는 육묘 후 이식재배 권장
△옥수수
멸강나방, 거세미나방 등 병해충 적기 방제 실시
■채소
△노지고추
아주심기 후 저온대비, 우박피해 관리, 지주설치, 웃거름 주기
△마늘・양파
수확시기, 수확시 주의사항, 도복과 수량성 관계 확인
△마늘 주아재배
주아재배 효과, 주아 채취, 저장, 파종, 관리방법 확인
△고랭지배추
육묘시 방충망 피복과 순화, 뿌리혹병 예방 철저
■과수
△착과량 조절
과실은 1과당 확보된 적정엽수를 통해 양분을 만들고 비대 발육 실시
△우박피해
피해 정도에 따라 착과량 조절, 살균제 살포해 2차 감염 방지
△열매솎기
사과는 만개 2주 후부터 시작하여 6월 상순 이전 마무리, 배는 생리적 낙과 지나고 착과 안정되면 실시, 복숭아는 예비·본 열매솎기 실시
△병해충 방제
사과(5월은 붉은별무늬병, 점무늬낙엽병, 장마 후 탄저병 방제), 복숭아(낙화 후 세균구명병, 탄저병 방제), 해충(진딧물, 복숭아순나방 방제) 등 관리 실시
■화훼
△장미
고온기 생육 관리 철저, 햇빛이 강한 날 차광 실시, 적용약제 사용해 병해충 관리 철저
■특작
△인삼
생육시기별, 지역별, 생육상태에 따라 병해충 방제 철저
△약용작물
도라지는 솎음작업을 겸해 김매기, 오미자는 개화후 괴실비대와 해겨리 방지 위해 양분 공급 실시
△느타리버섯
버섯이 정상적으로 발이 되도록 품종별 특성에 맞는 온도로 조절, 자실체가 정상적으로 생육하도록 환기 조절 실시
■축산
△AI‧구제역·ASF
농장·근로자 소독 생활화, 구제역 백신접종 등 차단 방역 철저
△고온대비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송풍팬 및 환기시설 점검
△사료작물
동계작물 수확 및 하계작물 파종시 품종에 따라 적기 수확 및 재배
■양봉
△유밀기 벌무리 벌집 배열
꿀이 들어오기 시작하면 빈 벌집과 덧통을 활용
△분봉열 예방
분봉열 발생을 예방하여 채밀용 벌무리 관리
△여왕벌 양성
여왕벌 양성에 적합한 시기로 여왕벌 및 교미상 조성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