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농사정보
충북농기원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20.7~21.9도)과 비슷하거나 높고, 강수량은 평년(4.9~23.9mm)과 비슷하겠다.
■벼
△이모작모내기
고온피해 방지를 위해 육묘장 환기 철저, 적정 주수 모내기 권장
△비료사용
질소질 비료의 과잉은 쌀 품질 저하 원인이 될 수 있어 적정 시비 권장
△잡초방제
모내기 전과 후 두 차례 방제하고, 처리 후 3~5cm 깊이로 5일 이상 담수 권장
△물관리
모낸 직후 7~10일간 5~7cm 깊이로 담수, 새끼 칠 때는 2~3cm로 담수 권장
■밭작물
△맥류 수확
보리 수확적기는 출수 후 40일 이후, 수매용은 수분 함량 13% 이내, 저장용은 12% 이내로 건조 권장
△콩
적기 파종, 논 콩 배수구 설치, 파종 후 3일 이내 토양 적용 제초제 처리
△조
배수가 양호한 토양에서 재배, 적기 파종 권장
△팥
적기 파종, 파종간격 60x10~15cm, 적기 파종량 10a당 3~4kg 권장
△참깨
이모작 적기 파종, 시들음병, 잎마름병 등 병해 예방 위주 약제 살포 권장
△땅콩
배수로 정비 철저, 김매기, 적기 병해충 방제
■채소
△노지고추
우박 피해 포장에서는 측지 유인해 관리, 웃거름 시비 등
△마늘・양파
마늘은 잎이 1/2~2/3 정도 말랐을 때 수확, 양파는 도복 후 잎이 완전이 마르기 전에 수확 실시
△딸기육묘
런너 및 자묘 유인, 칼슘결핍증 예방 및 관수 관리
△고랭지배추
육묘 시 방충망 피복과 순화, 뿌리혹병 및 칼슘결핍증 예방 철저
■과수
△6월낙과 대비
마무리 적과 늦춰 실시, 배수관리 철저, 영양제 살포 자제
△우박피해 대응
피해 정도에 따라 착과량 조절, 살균제 살포해 2차 감염 방지
△병해충 방제
사과(6월 하순 장마기에는 탄저병, 겹무늬썩음병, 갈색무늬병), 복숭아(낙화 후 세균구명병, 탄저병 방제), 해충(진딧물, 복숭아순나방 방제), 배(검은별무늬병), 포도(새눈무늬병, 잿빛곰방이병), 단감(둥근무늬낙엽병) 등 관리 실시
■화훼
△접목선인장
수경재배 시 양액 공급은 1일 3회 공급하고, 담수시간은 15분으로 할 것
■특작
△인삼
잿빛곰팡이병이나 뿌리썩음병이 많이 발생하는 시기이므로 예방 위주로 방제하고, 발병 포장은 즉시 방제 약제를 살포해 줌
△약용
도라지, 마는 뿌리나 뿌리줄기가 비대를 위해 웃거름을 주고, 도라지는 개화 후 30일경 꽃봉오리를 제거해줌
■축산
△가축관리
축사환경 적정 온습도 관리 및 청결 유지, 무더위 대비 시설 점검 실시
△비래해충
급속 확산되기 때문에 상시예찰 및 즉시방제 필요, 적정 약제 살포
△집중호우
장마대비 축대 보수 및 배수로 정비, 전기안전점검 실시
■양봉
△유밀기 끝무렵에 채밀을 적게하고 식량실을 조성해줌
△도둑벌 관리
도둑벌 방지를 위해 벌무리 세력을 강하게 유지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