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농사정보
충북농기원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21.9~23.1도)과 비슷하거나 높고, 강수량은 평년(24.2~80.1mm)과 비슷하겠다.
■벼
△본답관리
이삭 패기 전 40일부터 30일 사이에 중간 물떼기 실시
△병해충방제
먹노린재, 도열병 등 병해충 수시 예찰 및 약제 준비
■밭작물
△기상재해
폭염대비 관수 등으로 수분손실 방지, 집중호우 대비 배수로 정비 실시
△콩
제초와 겸해 파종 후 30~40일경, 개화 10일 전에 북주기 작업 실시
△감자
봄감자 수확 및 여름재배 시 역병 발생 예방을 위한 방제 실시
△참깨
잘록병·역병·시들음병·잎마름 병 등 예방 위주로 약제 살포
■채소
△고추
탄저병·역병 등 주요 병해충 방제, 장마 대비 배수로 정비·지주대 보강 권장
△여름배추
육묘 시 방충망 피복과 순화, 뿌리혹병 및 칼슘결핍증 예방 권장
△시설채소
고온 대비 환기팬 가동·차광망 활용, 시설 내 온·습도 관리
■과수
△6월낙과
일조부족·수세과다·토양수분 과잉부족, 고온·저온으로 발생 시 마무리 늦춰 실시, 배수관리 철저 및 영양제 살포 자제
△열과
과실비대기와 수확 전, 가뭄 이후 급격한 수분 흡수에 의해 발생 시 암거배수 설치 등 배수로 점검, 인공수분 통한 안정착과 등 적과 철저
△햇빛데임
일 최고기온 31도 이상 맑은 날 발생, 양광면 및 음광면에 비해 10도 높을 시 절절한 가지 배치를 통한 일소피해 예방, 미세살수장치 가동 필요
■화훼
△국화 고온장해
고온피해로 발생하는 관생화 증상을 막기 위해서 시설 내 주간온도는 30도 이하, 야간온도는 10도 이상으로 관리할 것
■특작
△인삼
해가림 피복물, 배수로 등 시설을 잘 관리해 갑작스러운 비에 의한 피해가 없도록 할 것. 병 발생이 많은 시기이므로 방제에 유의
△약용작물
흰가루병, 점무늬병, 탄저병 등은 발생 초기에 방제약제를 살포해 피해가 없도록 할 것, 응애류는 예방에 중점 두고 관리함
■축산
△가축관리
축사환경 적정 온습도 관리 및 청결 유지, 무더위 대비 시설 점검 실시
△집중호우
장마대비 축대 보수 및 배수로 정비, 전기안전점검 실시
■양봉
△사육관리
무밀기 먹이 공급, 급수기 설치, 적당량의 설탕물과 화분공급, 로열젤리 생산 시 먹이 공급
△구왕 교체 및 인공분봉
교미상 조성과 인공분봉 증식 등 꿀벌응애류 및 부저병 집중 방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