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쇠 일관, 재수사 해야” vs “도의적 책임”
행안위, '오송참사' 국정조사서 김영환 충북지사 추궁
청주 '오송참사' 국정감사를 진행하고 있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15일 충북 청주 오송지하차도 참사 현장을 찾아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을 요구했다.
행안위는 이날 참사가 발생한 미호강교와 제방 현장을 직접 살폈고, 개선사항을 점검하기 위해 관계 기관의 조치가 적절했는지 조사에 나섰다.
이날 조사에는 충북도, 청주시, 행복도시건설청, 금강유역환경청, 금호건설 등의 관계자도 참석했다.
이어 충북도청으로 자리를 옮긴 행안위는 참사 당시 부실한 보고 체계에 대한 문책성 질의가 쏟아졌다.
질의는 김영환 충북지사의 (참사 당시) 안일한 대응 방식에 집중됐다.
더불어민주당 이광희(청주 서원) 의원은 "수 차례에 걸쳐 위험신호 신고가 접수됐는데도 불구하고 김 지사는 '전달 받지 못했다'는 변명과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며 "몰랐다는 이유로 책임은 회피 되지 않는다"고 질책했다.
같은 당 이연희(청주 흥덕) 의원은 "오송참사가 발생한 당일 명시된 매뉴얼대로 지하차도 교통을 통제했다면 참사는 막을 수 있었다"며 "보고 체계 문제는 도지사의 지휘 관리책임"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참사가 발생해 아까운 인명피해가 발생한 것에 도의적인 책임을 갖고 있다"며 "다만 모든 것을 '도지사의 책임'으로 몰고 가는 것은 결과론적인 얘기"라고 답변했다.
국정조사에 참관한 오송참사 유가족들의 질문도 이어졌다.
유가족 관계자는 "참사가 2년이 지났지만 이제라도 국정조사가 이뤄질 수 있어 감사하다"며 " 이런 참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재난 안전 매뉴얼이 마련되고, 평가 제도 역시 실질적인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국회에서 역할을 해 달라"고 말했다.
유가족들은 지연되고 있는 추모 사업 시행도 촉구했다.
오송참사 유가족·생존자협의회와 시민대책위원회는 이날 성명을 내 "내일 열리는 도의회 2차 본회의는 오송참사 희생자를 공적으로 기억할지, 아니면 기억에서 지울지를 가르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요구했다.
이어 "도의회는 두 차례나 추모 조형물 설치 예산을 전액 삭감하며 유가족과 생존자에게 큰 상처를 입혔다"며 "추모와 교훈의 상징인 이 조형물은 이미 설치 위치가 합의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도의회는 삭감한 예산을 직권 상정해 원상 복구하고, 유가족과 생존자 모두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충북도의회 상임위원회는 오송참사 추모 조형물 설치 사업 예산을 전액 삭감해 유가족들의 공분을 샀다.
이들은 "지난 2년간 추모비와 추모현판 설치를 촉구했다. 하지만 계속 추모 사업이 무산되고 삭감되면서 유가족들의 심리적 고통이 이어지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김 지사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 등으로 추모비 건립에 어려움을 겪었다"며 "유족들을 위로할 수 있다면 도청에 추모비를 건립하겠다"고 밝혔다.
행안위는 오는 23일 김 지사와 이범석 청주시장,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을 상대로 청문회를 진행, 25일 보고서를 채택할 예정이다.
오송지하참사는 2023년 7월 15일 오전 8시 40분께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인근 미호강 제방이 터지면서 유입된 물로 당시 지하차도를 지나던 시내버스 등 차량 17대가 침수되고 14명이 숨진 사고다. 김민환·홍승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