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시, 법정 환경교육도시 재도전

지정 가능성 ‘청신호’

2025-10-14     서경석 기자

아산시(시장 오세현)가 환경부 ‘법정 환경교육도시’ 지정에 도전하고 있다.
이와관련 시는 지난 12일 환경부의 현장심사가 마무리 됐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해 환경교육도시 지정 공모 참여 경험을 토대로 추진체계와 행정 기반을 한층 고도화했다. 2023년 ‘환경교육도시 지정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심사 과정에서 나타난 개선 과제를 반영해 전담조직인 환경정책교육팀을 신설했다.
예산도 10억6700만원에서 16억9900만원으로 확대하고, 교육기관·시민단체·산업계가 함께 참여하는 거버넌스 체계를 강화했다.
시는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천을 시정의 핵심 축으로 삼아왔다. 미세먼지 저감, 친환경에너지 보급, 자원순환 교육 등 실질적인 정책을 이어가며, 2017년 ‘아산시 환경교육 진흥 조례’ 제정을 시작으로 제도적 기반을 꾸준히 다져왔다.
시는 아산환경과학공원, 물환경센터, 생태곤충원 등 지역 내 교육거점에서 탄소중립, 생물다양성, 자원순환을 주제로 한 체험형 교육이 상시 운영ㅘ고 있다.
또 반딧불이 서식지 6곳을 복원하며 생물다양성 보전 교육을 병행했고, 지난 6월에는 ‘환경교육도시 아산’ 선언과 함께 시민 2000여 명이 참여한 환경교육 주간 행사를 열어 생활 속 탄소저감 실천문화를 확산시켰다.
이를통해 2024년 생물다양성 분야 환경부장관 표창과 환경보전 유공 대통령 표창을 연이어 수상하며, 지방정부 차원의 환경교육과 기후위기 대응에서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했다.
체계적인 교육모델 구축도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공주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아산형 환경교육 표준’ 개발 연구를 추진 중이다. 유아·청소년·성인 등 생애주기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교육성과 평가체계를 도입해 지속가능한 운영 기반을 다지고 있다.
특히 어린이집 대상 ‘유아 ESG(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생태교육’ 캠페인, 청소년 환경동아리, 성인 환경강사 양성과정 등 세대별 학습문화를 확산시키며,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생태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세대 간 공감과 환경복지를 동시에 실현하고 있다.
행정·교육·시민이 함께하는 협력체계도 아산의 강점이다. 시는 부시장, 교육지원청, 전문가, 시민대표가 참여하는 ‘환경교육위원회’를 운영해 정책 방향을 심의하고, 27개 기관·단체가 참여하는 ‘환경교육 실무협의체’를 통해 공동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오세현 아산시장은 “환경교육도시 지정은 단순한 타이틀이 아니라 도시 경쟁력의 새로운 축이 될 것”이라며 “아산은 제조업 비중이 높은 도시인 만큼 산업계의 친환경 전환이 필수적이다. 환경교육도시는 탄소중립 사회로 가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아산 서경석 기자 ks2run@dy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