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기업들, IP 전담 인력 10% 불과…전문성 취약 드러나
충북대, ‘충북지역 지식재산 인력수급 실태조사’ 결과 발표
충북도내 기업들의 지식재산권(IP) 전담인력이 10%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충북대 지식재산전문인력양성센터가 8월~10월 충북 도내 지식재산권(IP)을 보유한 100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내 지식재산 인력 현황과 인력 수요, 교육 및 정책 지원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충북지역 지식재산 인력수급 실태조사’ 결과를 이같이 나타났다.
조사 결과 충북 지역 기업의 59%가 지식재산(IP) 업무를 외부 기관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내부에 전담 인력을 둔 기업은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1%는 겸임 인력에 의존하고 있었고, 22%는 지식재산 관련 업무 자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인력 부족 현상은 기업 규모나 업종을 가리지 않고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중소기업일수록 외부 의존도가 높았다.
지식재산 인력을 보유한 기업의 평균 인력 규모는 3.04명으로 집계됐지만, 이 중 2.54명이 겸임 인력이었고, 전담 인력은 평균 0.5명 수준에 불과했다.
변리사·변호사 등 자격 보유자는 0.01명에 그쳐 전문성이 매우 취약한 수준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겸임 인력의 70%가 연구개발(R&D) 업무를 병행하고 있어, 지식재산 관리가 여전히 ‘부수적 업무’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기업들의 향후 인력 수요 전망에서도 구조적 한계가 확인됐다. 기업들은 향후 2년 내 0.28명의 지식재산 인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지만, 실제 채용 계획은 0.23명(필요 대비 82%)에 그쳤다.
4년 내 수요도 필요 0.43명, 채용 0.34명으로 유사한 격차를 보였으며, 기업들은 예산 부족(20%)과 전문인력 확보 어려움(14%)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연구개발 인력의 지식재산 관련 역량 수준도 평균 3.39점(7점 척도)으로 필요 수준(4.20점) 대비 0.81점의 역량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식재산 역량이 단순한 법률 이해를 넘어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연결하는 핵심 역량으로 부상했음을 보여준다.
임달호 지식재산전문인력양성센터 단장은 “도내 기업들이 여전히 외주 중심으로 IP 업무를 처리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술개발과 특허전략을 연계할 수 있는 IP-R&D 융합형 인재가 절실하다”며 “이번 조사를 토대로 지역 산업의 IP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무형 인력 양성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충북대 지식재산전문인력양성센터가 추진 중인 ‘지식재산 전문인력 양성 기반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센터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별 IP 역량 차이를 진단하고, 향후 충북지역의 지식재산 교육 및 정책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김병학 기자 kbh7798@dy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