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농사정보
충북농기원
■ 농업정보
기온은 평년(5.9~7.7도)과 비슷하거나 높겠고, 강수량은 평년(1.2~7.6㎜)과 비슷하거나 적겠음.
■ 벼
△볍씨 준비 내년에 사용할 종자는 국립종자원 벼 보급종 종자를 신청.
△토양관리 객토, 유기물 주기, 깊이갈이, 배수개선 등 종합적 개량 관리.
△농기계 관리 사용한 농기계에 대한 철저한 점검·세척·윤활 등 관리 실시.
■ 밭작물
△보리·밀 습해와 동해 예방을 위한 배수로 설치·정비.
△감자 시설재배 남부지방 가을재배로 채종한 품종은 실온보관으로 휴면기간 단축.
△고구마 저장에 가장 알맞은 온도는 12~15도이며, 습도는 85~90%임.
△종자관리 종자저장을 위해 이병종자·협잡물 제거, 유해동물 피해방지 노력.
■ 채소
△가을배추·무 농약안전사용 기준 철저히 준수, 한파 대비 보온자재 준비.
※ 한번 얼었던 배추는 수확하지 말고 기온 상승을 기다려 회복 후 수확.
△마늘·양파 배수로 정비, 심기 늦어진 포장 피복, 노균병 예방적 방제.
△시설채소 햇빛 강도에 따라 관수량 조절, 병해충 발생 초기 방제.
△딸기 당도 향상을 위한 변온관리, 양액 급여, 잎 따주기 최대한 자제.
■ 과수
△사과원 관리 세력이 약하면 낙엽 전 엽면시비, 보온자재 피복, 땅 얼기 전까지 관수.
△동해 대비 배수로 정비, 나무 주간부 수성페인트 도포 등 보온자재 피복.
△저장 저장고 온도 0~2도, 습도 80~90%, 산소 5%, 탄산가스 5~10% 적정.
△환기 이산화탄소, 에틸렌 가스장해 방지를 위한 주기적 환기(1주일에 1~2회, 10분씩).
■ 화훼
△장미 분화 장미를 시설 내에서 동절기에 재배 시 보광을 15시간 일장처리하면 생육이 증가하고 블라인드 발생률도 14~23% 감소.
■ 특작
△인삼 표준 규격자재를 사용한 표준해가림 시설을 설치하고, 월동기 차광막을 걷어 폭설로 인한 피해를 예방.
△약용 세척·건조 후 4도 이하의 저온저장고에 보관하여 곰팡이 독소에 의한 오염 차단.
△느타리버섯 겨울철에는 적정 습도 유지에 주의하며, 실내 습도는 버섯 발생 시 90% 이상, 버섯 생장 시 80~90% 유지.
■ 축산
△한우사양 소가 섭취한 사료는 반추위 내 미생물로 다양한 소화과정을 거침.
△예방접종 송아지는 예방접종으로 질병예방 ·조기발견 후 치료.
△환절기 관리 찬공기 노출 방지와 충분한 환기(소), 환기로 습도가 높아지는 것(돼지)에 주의.
※ 의심축 발생 시 신고(☎1588-9060, ☎1588-4060). 가축전염병 특별방역대책기간 2025년 10월~2026년 2월.
■ 양봉
△월동관리 저온 피해 예방 및 과보온 주의.
△병해충관리 방치된 빈 벌집에 꿀벌부채명나방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