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공공의료 네트워크 구축 시급
치료가능 사망률 전국 1위 등 의료 열악
도의회 공공의료 현황·과제 토론회 열어
충북 지역 열악한 의료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공공 의료 네트워크 구축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충북도의회 정책복지위원회(위원장 이상식)는 지난 14일 도의회 다목적 회의실에서 충북지역 공공의료 현황과 과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는 충북의 의료 격차와 공공의료 공백 문제를 진단하고 실질적 정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손은성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공동대표는 “충북의 치료가능 사망률이 전국 1위이며, 자살률도 최상위권을 기록하는 등 의료 현실이 매우 열악하다”고 지적했다.
손 대표는 “공공의료기관 운영에 환자와 주민의 참여를 보장하는 ‘공공의료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소영 충북대 의과대학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공공의료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했지만, 여전히 시장 중심 의료체계로 인해 지역 의료 불균형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남부·중부·북부에 적정 규모의 공공보건의료기관을 고르게 배치하고, 중앙과 지방정부의 재정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권순남 민노총 공공운수의료연대본부 충북지역지부 충북대병원분회장은 “2024년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국립대병원의 재정이 급격히 악화해 충북대병원은 부채비율 1878%에 1200억원을 차입하는 등 심각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국립대병원의 주무 부처를 보건복지부로 이관하고, 공익적자에 대한 국가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형국 제천단양 공공의료 주민대책위원은 “제천·단양은 초고령화와 관광객 유입으로 의료 수요가 폭증하지만, 인프라는 부족한 ‘의료 사막화’ 지역”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충북대 충주분원-국립소방병원-단양보건의료원을 연결하는 ‘북부 의료벨트’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찬오 충북도 보건정책과장은 “충북 의료기관의 청주 편중 등 구조적 의료취약 현황을 개선하기 위해 순회진료와 응급·분만 지원, 단양보건의료원 개원 등 필수 의료·인력·인프라 확충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과장은 “이동진료서비스 확대와 충북대병원 대폭 지원을 통해 지역완결형 공공 의료체계를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상식 위원장은 “토론회를 통해 도민이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는 충북을 만들기 위한 구체적 방향을 확인했다”며 “제시된 의견 가운데 입법·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부분은 충북도와 긴밀해 검토해 도정에 최대한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지영수 기자 jizoon11@dy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