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군민들 송전선로 건설 반대 집회
지역주민 500여 명 함께…군수와 군의장도 참석
신장수~무주영동 송전선로 건설에 반발하는 영동군민들이 19일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이날 3번째로 가진 영동군 송전선로 반대대책위원회는 영동읍 회전로타리에서 현수막과 피켓을 들고 “영동의 산하를 관통하는 송전선로와 개폐소 건설 계획을 철회하라”고 반대의 목소리를 높였다.
궐기대회엔 전북 무주지역에서 활동하는 나승인 무주군 송전선로 공동집행위원장, 정영철 영동군수, 신현광 영동군의장, 이수동 영동군의원 등이 연단에 올라 힘을 보탰다.
이들은 ‘지산지소(地産地消)’ 논리를 내세우며 ‘지역에서 소비할 전기는 그 지역에서 생산해야한다’는 목소리를 높이며 ‘수도권 시민과 경기지역 산업시설에 공급할 전력을 확보하는데 왜 애꿎은 농촌을 희생시키느냐’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전기는 서울·수도권으로 올라가지만 그 길목에서 발생하는 피해는 영동주민의 몫”이라며 “우리의 건강, 우리의 농토, 우리의 삶을 송전탑과 송전선로, 개폐소가 짓밟도록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포도와 와인, 국악의 고장 영동이란 정체성은 초고압 송전탑과 개폐소만으로도 무너질 수 있다”며 “집은 팔리지 않고, 농지 가치는 떨어지고, 수십 년 지켜온 영동의 미래 산업은 철탑 아래서 시들어 갈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노선 재조정, 분산형 전력체계, 주민참여 검증 등 대안을 논의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전은 ‘신장수~무주영동 개폐소(PPS/Y) 송전선로건설’을 밀어붙이고 있다.
수도권 전력 공급을 목적으로 전라·충청지역에 345㎸급 초고압 송전선과 변전소 개폐소 등을 설치하는 국책사업(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다.
사업 종료 시점은 2031년 12월이고 송전선로 전체 길이는 58.5㎞다.
가장 위험한 시설로 분류되는 개폐소는 영동군 양강면에 들어선다.
대책위는 7월과 8월에도 차량을 동원한 대규모 거리시위를 벌였으며 한전 본사에서 1인 시위도 이어가고 있다. 영동 황의택 기자 missman8855@dy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