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대 철학과 교수, 칸트 다룬 수능 국어 17번 정답 없다
이충형 교수, 수능 주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게시판에 글
'a=b이고 a가 C면, b도 C다'라는 논증 잘못 활용‘ 주장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 17번 문항에 정답이 없다는 대학교수의 주장이 나왔다.
19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충형 포항공대(포스텍) 철학과 교수는 수능을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 게시판에 쓴 글에서 "수능 국어 시험에 칸트 관련 문제가 나왔다고 하기에 풀어 보았는데 17번 문항에 답이 없어 보였다"고 주장했다.
국어 17번 문항은 EBS와 학원가, 수험생이 한목소리로 고난도 문항으로 꼽은 문항으로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인격 동일성에 관한 견해를 담은 지문으로 보기를 옳게 이해한 선택지를 골라야 한다.
보기에는 두뇌에서 일어나는 의식을 스캔해 프로그램으로 재현한 경우, 본래의 자신과 재현된 의식은 동일한 인격이 아니라는 '갑'의 주장을 제시하고 있다.
평가원에서 제공한 답은 3번 '칸트 이전까지 유력했던 견해에 의하면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갑의 입장은 옳지 않겠군'이다.
이 교수는 갑의 입장이 옳기 때문에 3번이 정답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문에는 '칸트 이전까지 인격의 동일성을 설명하는 유력한 견해는 '생각하는 나'인 영혼이 단일한 주관으로서 시간의 흐름 속에 지속한다는 것이었다'는 문장이 지문 도입부에 나온다"며 "스캔 프로그램으로 의식이 재현되면 '단일한 주관'이라는 조건을 충족하지 않기 때문에 갑의 입장은 옳다"고 설명했다.
또한 개체 a와 b 그리고 속성 C에 대해 'a=b이고 a가 C면, b도 C다'라는 논증을 잘못 활용한 사례라고도 했다.
이 교수는 "'생각하는 나'=영혼일 때 '생각하는 나'가 지속하면 영혼은 지속한다고 볼 수 있다"며 "칸트 이전 견해에 따르면, 영혼이 지속하면 동일성이 보장되므로 '생각하는 나'가 지속하면 동일성이 보장된다. 따라서 칸트 이전 견해에 의하면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이 보장된다는 풀이는 옳지 않다"고 했다.
독해·논리 강사인 메가로스쿨의 이해황 강사도 이 교수와 같은 견해를 담은 동영상을 유튜브에 게시했다.
이 강사는 "이 교수님이 이런 주장을 메일로 보내주셨고, 면밀히 검토한 결과 저도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관계자는 이런 주장에 대해 "심사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해당 문항도 심사 결과에 포함해 최종 결과 발표 때 공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평가원은 18∼25일 심사를 거쳐 오는 25일 오후 5시 정답 확정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김병학 기자 kbh7798@dy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