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시·군의회 홈피 의원 개인휴대폰 공개 ‘찬반’

(하) 휴대폰번호 공개 ‘득일까 독일까’···“개인정보·의원들 본인 판단 문제”
충남 시·군의회 누리집, 대부분 의원 번호 공개

2025-11-24     오동연 기자

충남지역은 의회 누리집을 통해 시·군의원 휴대폰 번호를 모두 공개하고 있는 곳이 15곳 중 13곳에 달해 시민소통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4일 더불어민주당 조상연 당진시의원은 전화 인터뷰에서 “의회 누리집에 의원 휴대폰 번호 공개는 당연하다”며 “의회는 대의민주주의 기관이고 의원은 시민들에게 민원을 받아 정책에 녹여내는 사람이기에 민원창구를 열어놔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전영옥 당진시의원도 “청탁 전화나 악성 민원 전화도 오는 것은 사실이지만 시민이 일하라고 뽑아준 자리니 휴대폰 번호를 공개하고 있다”며 “의회 누리집에서 휴대폰 번호가 공개돼도 불편한 점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특히 충남지역에서는 태안군의회와 계룡시의회 단 2곳 의회만 의원별 휴대폰 번호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번 취재 과정에서 태안군과 계룡시의회 개인별 의원 입장을 듣기 위해 의회 누리집에 공개된 의원사무실 번호로 전화를 했지만 부재중이라 통화할 수 없었고, 직원에게 메모를 남겨도 무응답이어서 의원들 입장을 듣지 못했다.
이에 대해 태안군의회 관계자는 “의원들의 휴대폰 번호를 공개했었는데 3월부터는 사무실 번호만 공개하고 있다”며 “개인정보라는 이유로 일부 의원들이 꺼려 비공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충북도의회 누리집도 도의원들 휴대폰 번호가 비공개된 반면 충남도의회는 모두 공개돼 있다.
충북도의회 관계자는 “의원들의 개인정보라 문제가 될 수 있어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반면 충남도의회 관계자는 “각 도의원들의 동의를 받아 휴대폰 번호를 공개하고 있다”며 “도의원들이 도민들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려는 의지가 강해 공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박재주 충북도의원은 “주민들에게 선출된 시·도의원들은 민원 발생과 중재 역할을 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주민들은 의원과 소통할 권리가 있다”며 “개인정보 때문에 휴대폰 번호를 비공개하는 것은 말도 안 되며 공개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고 의견을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정병인 충남도의원도 “선출직 공직자는 공인이고 시민과의 소통을 적극적으로 해야 하는 직위에 있기 때문에 당연히 휴대폰 번호를 공개해야 한다”며 “악성 민원·폭탄 문자·항의 전화도 있지만 선출직 공직자의 휴대폰 번호는 앞으로도 공개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박동명 선진사회정책연구원장은 “의원들의 휴대폰 번호 공개 여부는 각 지역의 사정을 고려해서 의원 개인이 판단하고 각 의회의 판단도 존중돼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유성진 이화여대 교수(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 소장)는 “개인정보 문제도 있지만 휴대 전화는 직접 소통하는 창구이기 때문에 청탁 문제 등 역기능도 있을 수 있다”며 “주민들이 자신들의 대표와 연락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은 필요하나 그것이 반드시 휴대폰 번호일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다. <끝> 오동연 기자 viseo@dy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