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지영수 기자]올해 처음 투표권을 쥔 고3 학생들의 표심이 어디로 향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학생들이 직접 교육감을 뽑을 수 있는 첫 선거인 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인 1일, 지역 투표소에는 투표권을 행사하려는 고등학교 3학년생 유권자들이 곳곳에 눈에 띄었다.
이번 지방선거는 2019년 공직선거법 개정에 따라 선거연령이 하향 조정된 이후 열린 첫 지방선거로 2004년 6월 2일 이전에 태어난 만 18세 고등학교 3학년생이 투표할 수 있다.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기준 21만4617명으로 전체 유권자의 0.5%를 차지한다.
김(18) 모군은 “당선되는 교육감은 예체능 분야의 배움이나 학교 급식, 학생들 사이의 관계 등 여러 문제에 신경 써주면 좋겠다”며 “학생들과 소통하는 당선인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박(18) 모양은 “고3이라 초중고 교육 과정을 거의 끝내간다”며 “교육감 후보를 볼 때 지금까지 개인적으로 교육과정에서 느낀 불편했던 점이나 좋았던 점이 후보의 공약에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를 봤다”고 말했다.
교육 현장에서 고3 ‘새내기 유권자’들에 대한 투표 독려가 없었던 점에 대한 목소리도 나왔다.
정 군 “투표가 중요하지만 사실 고등학생들에게는 관심이 떨어지는 분야다 보니 학교에서 선거 전에 학생들의 투표를 독려하고 쉽게 설명해주는 프로그램이 있었다면 학생들의 투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좋았을 것 같다”고 강조했다.
전(18) 모군은 “이번 선거에서 시장이나 시의원도 뽑지만 사실 고3 학생 입장에서 가장 인상 깊은 것이 교육감을 뽑는 것 이었다”며 “교육감은 학생들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니 고등학교 1학년부터 뽑아도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온라인상에서도 첫 투표를 마친 고3 학생들의 ‘투표 인증’이 이어졌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인스타그램에는 ‘첫투표’ 해시태그(#)가 달린 고3 유권자들의 게시글을 다수 찾아볼 수 있었다.
맘카페 등에서는 학부모가 ‘고3 아들과 함께 투표했는데 첫 투표권이 생긴 아들이 설레하는 것이 귀엽다’는 등의 글도 올랐다.
트위터상에서는 ‘고3이지만 생일이 지나지 않아 투표를 못 했다’, ‘생일이 안 지나 투표를 못 해 자습실에 끌려간다’며 만 18세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투표하지 못한 고3 학생들의 아쉬움 섞인 게시글도 찾아볼 수 있었다. 특별취재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