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이 부실화된 4대강 사업으로 난리다.

수백억 원의 공사비가 들어간 공원은 찾는 사람이 없고, 걸핏하면 물에 잠겨 해마다 엄청난 관리 예산만 잡아먹는 애물단지가 됐기 때문이다.

태풍 산바로 충북 옥천군 동이면 적하리 금강변에 조성된 수변공원 164000의 넓은 둔치는 허리가 꺾인 채 널브러진 나무와 움푹 팬 물웅덩이로 흡사 전쟁터를 방불케 했다.

몇 그루 안 되는 성한 나무들은 급류에 휩쓸려온 수초 더미와 각종 쓰레기를 뒤집어쓴 채 비스듬히 드러누웠고, 산책로 중간에 만들어진 원형광장도 진흙에 범벅돼 엉망이다.

영동군 양산면 송호리와 심천면 고당리 등 금강 상류의 4대강 수변공원 3곳은 올 들어서만 벌써 3번째 쑥대밭이 됐다.

이곳은 지난해 7월 장마에도 산책로가 패이고 조경수가 뽑혀나가는 피해를 봐 대대적인 복구공사가 이뤄졌다. 1년 주기로 부러지거나 뽑힌 나무를 다시 심고, 망가진 시설물을 보수하는 땜질복구가 되풀이되는 셈이다.

이 때문에 관리권을 넘겨받은 지자체만 되풀이되는 수해 뒤처리에 애를 먹는 꼴이 됐다.

같은 시기 조성된 충주·제천·단양의 한강·남한강 수계에 조성된 5곳의 수변공원도 사정은 비슷하다. 공원으로서의 기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주민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충주호 상류인 제천 중전지구 수변공원은 아직도 물에 잠겨 있는 상태다.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피해를 입은 각 지자체에 50억원 가량의 유지관리비를 추가 지원키로 방침을 세웠다.

이렇게 되면 충북지역 4대강 수변공원 관리비로 올해에만 77억원이 들어가는 셈이다. ‘돈 먹는 하마가 따로 없다.

정부가 수천억원을 들여 조성한 낙동강 본류 둔치의 생태공원도 강물에 완전히 잠겼다. 허술하게 심어진 상당수의 나무들은 예상대로 유실되거나 쓰러졌다. 피해는 낙동강 본류에서만 발생하지 않았다. 고령군, 성주군, 김천 등 낙동강 지천 제방이 터지거나 강물이 역류해 이들 지역에서 물폭탄이 터졌다.

지난 여름의 녹조 사태와 이번 홍수 사태를 보면, 정부가 밝힌 4대강 사업의 목표는 크게 빗나간 듯하다. 정부는 그동안 홍수예방과 수질개선, 건강한 생태환경 조성을 4대강 사업의 목표라고 홍보했다.

그러나 보의 수문을 어떻게 열고 관리해야 하는가에 대한 관리메뉴얼조차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4대강 사업은 이제 뒷감당만 남았다. 방어막이 완전히 사라진 상태에서 엄중한 심판만이 남았다.

22조원을 들여 시멘트를 바른 게 과연 강을 살릴 것인지, 40조원 생산유발, 34만개 일자리 창출은 과연 실현됐는지, 2012년까지 본류수질 평균 2급수 목표는 달성됐는지 철저히 따져봐야 한다.

지금이라도 신뢰할 수 있는 민관합동조사위원회를 구성해 보의 안전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정부가 4대강 사업의 실패를 인정하고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전문가 집단과 함께 4대강 사업 문제를 적극 해결해야 한다. 종합적인 진단과 대책을 서둘러야 할 때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