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과 2002년 대선 때 야권이 후보 단일화를 이룬 이후 공동 선거운동을 펼치기 위해 어떤 식으로 선거대책위원회를 꾸렸는지 관심을 모은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전 후보가 선거공조 차원에서 '국민연대'를 이루기로 합의한 가운데 당시 사례가 국민연대의 틀과 방식을 점쳐볼 가늠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1997년 김대중-김종필(DJP) 연합,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때는 모두 공동 선대위를 통해 공조 체제를 구축했지만 양상은 달랐다.

DJP연합 때는 내각제 개헌을 고리로 한 대선 이후 권력구조에 대한 양측 합의가 일찌감치 이뤄지는 바람에 선대위 구성이 비교적 수월했다.

그러나 선거법이 두 정당이 한 후보를 내세우는 연합공천제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김종필 총재의 자민련이 거당적으로 선거지원에 나서는 모양새를 만들지 못했다.

대신 공동 선대위를 만들어 자민련 인사들이 개별적 차원의 자원봉사 형태로 선대위에 합류하는 방식이 동원됐다.

양측은 김종필 총재를 선대위 의장, 박태준 의원을 선대위 고문으로 하고 동수의 부위원장급 분과위원장과 선대위원을 꾸려 공동 선대위를 구성했다.

선대위 산하에 상무위원을 두고 양당 사무총장이 공동으로 맡는 조정기구를 설치했다.

선대위 본부는 선거법 위반 소지를 없애기 위해 국민회의의 제2당사 형식으로 별도 건물에 마련했다.

2002년 '노-정 단일화' 때는 단일화 방식 합의가 이뤄진 11월22일 노무현 후보-정몽준 선대위원장 투톱 체제로 운영되는 공동선대위 구성에 합의했다.

29일에는 정몽준 국민통합21 대표가 공동선대위 명예위원장을 맡아 선거업무 전반을 통할하고 명예위원장 보좌기구로 비서실과 대변인, 특보단을 두는 합의가 나왔다.

또 노 후보와 정 대표가 협의해 양당 2명씩 공동 선대위원장을 임명하고, 공동선대위 산하 공동선대본부는 본부장 등을 양당 동수로 구성하되 선대본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선대위원장 중 양당 1명씩 집행위원장을 겸임토록 했다. 선거공조와 관련된 모든 사무실은 민주당 내에 두기로 했다.

그러나 추가 협의 과정에서 공동정부 구성 문제를 둘러싸고 양측이 갈등을 빚는 바람에 실질적인 대선공조를 확인하기 위한 노 후보와 정 대표 간 양자회동이 미뤄지면서 공동선대위 구성이 늦어졌다.

결국 선거일을 불과 6일 앞둔 12월13일 양자 회동이 이뤄지면서 선대위 구성에 대한 최종 합의가 이뤄졌고, 그 때부터 정 대표는 노 후보에 대한 공동유세 등 실질적 지원에 나섰다.

그나마도 대선 전날인 18일 밤 정 대표가 공동유세 때 노 후보의 발언을 빌미로 지지철회를 발표함에 따라 공동선대위 체제는 짧은 운명으로 마감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