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2700달러 안팎으로 역대 최고치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27일 기획재정부가 자체적으로 추산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명목 GNI는 1277조132억원으로 이를 연평균 원ㆍ달러 환율(1천126.8원)과 인구(5000만4441명)로 나눈 1인당 GNI는 2만2720달러다.

기재부는 지난해 명목 경제성장률을 3.2%로 전제하고 2011년 GNI(1240조5039억원)에 반영해 추산했다.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은 10년 전인 2002년의 1만2100달러보다 배 가까이 늘어난 사상 최대치다.

다만, 지난해 1인당 GNI는 2011년에 견줘보면 1.0%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2.0%)의 절반 수준이다. 국가의 경제규모가 커진 것보다 국민의 생활수준을 보여주는 지표의 성장세는 더뎠다.

참여정부(2003~2007년) 당시 1인당 GNI는 전년 대비 증가율이 11.2%, 12.1%, 16.2%, 12.3%, 9.9% 등을 기록해 2007년에 2만달러 선을 돌파했다.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로 2008년(-11.4%)과 2009년(-11.1%)에 2년 연속 1만달러 대로 물러섰다가 2010년(20.7%)과 2011년(9.4%)에 다시 2만달러 선을 회복했다.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이 증가율이 저조한 것은 저성장 외에도 환율 효과가 겹쳤기 때문이다. 원·달러 환율은 2011년 평균 1108원이었지만 지난해에는 1126.8원으로 올라 원화 가치가 1.7% 떨어졌다.

LG경제연구원 신민영 수석연구위원은 "노무현 정부에선 경제성장률이 4%를 웃돌고 원화가치가 높아 1인당 GNI도 빠른 속도로 증가했지만, 작년에는 가뜩이나 저성장인데다 환율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는 원화 강세가 계속될 전망이어서 1인당 GNI가 늘어나 2016년이면 3만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경제성장률을 연 3%, 물가상승률은 연 2%, 원·달러 환율 하락률은 연 5%로 가정해 얻은 추정치다.

기재부는 작년 8월에는 경제성장률을 3.3%로 전망해 1인당 GNI가 2만3159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지만 실적은 성장률이 2.0%로 떨어져 1인당 GNI도 전망치보다 439달러 적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