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전선 군사분계선(MDL) 북쪽 야산서 이틀째 번져

생태보고의 땅으로 주목받는 중동부전선 비무장지대(DMZ)에서 거의 해마다 크고 작은 산불이 발생하고 있으나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진화는 뾰족한 대책이 없어 엄청난 면적이 소실되고 있다.

일부 산불은 남방한계선을 넘어 민간인 주거지역까지 번지며 주민을 위협,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4일 군 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 13일 오전 4시 40분께 동부전선 군사분계선(MDL) 북쪽 야산에서 산불이 발생, 이틀째 번지고 있다.

한 때 소강상태를 보였으나 강한 바람을 타고 남방한계선 2㎞ 전까지 남하해 헬기 등이 투입돼 저지하고 있다.

현재까지 소실된 구간은 동서길이 13㎞ 정도로 추정하지만, 전날 강풍에 불씨가 여러 군데로 번진데다 연기가 자욱해 정확한 규모는 확인할 수 없는 상태이다.

인명이나 군 시설물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중동부전선 DMZ에서는 거의 매년 이 같은 산불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3월 14일 철원지역 DMZ 내 1.5㎞ 부근 산 정상에서 산불이 나 이틀간 1㏊를 태우고 소멸했다.

2011년 4월 12일 동부전선 DMZ 북쪽에서 산불이 발생, 14일까지 번졌으며 같은 해 11월 27일 발생한 산불은 3일간 이어졌다.

2009년 4월 8일과 9일에는 인제와 양구지역 DMZ 안에서 각각 발생한 산불은 8일과 7일 만에 꺼졌다. 당시 2천772㏊의 산림이 소실된 것으로 군 당국은 파악했다.

특히 2005년 4월 4일 고성지역 DMZ에서 발생한 산불은 6일 만에 꺼졌으나 한 때 남하한 불길이 민간인 거주지역까지 번져 주민이 대피하기도 했다.

DMZ에서 발생하는 산불은 거의 모두 북측 구역에서 발생, 바람을 타고 남쪽으로 번지고 있다.

DMZ 산불이 남방한계선을 넘어 남하하면 민통선 구역의 통일전망대와 출입국사무소, DMZ박물관 등 남북교류협력기지 등 공공 및 군사시설의 피해가 우려된다.

그러나 매년 발생하는 산불의 구체적인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북측이 시야확보를 위해 수목과 잡초를 제거하는 '사계청소'(射界淸掃.Clearing the Field of Fire)에서 비롯됐을 것이라는 추정만 있을 뿐이다.

군 당국은 매번 원인이 밝혀진 바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산불이 DMZ 부근에서 북측의 사계청소에 의한 우발적 산불이라면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양측이 긴밀한 대화채널을 유지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특히 보존가치가 세계적인 DMZ의 자연생태는 물론 민통선 인근지역 주민들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DMZ 산불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도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남북이 군사적으로 첨예하게 대치하는 현 상황에서 DMZ 내 산불진화가 쉽지만은 않은 실정이다.

지난 2005년 4월 8일 유엔사 군사정전위원회를 통해 북측의 동의를 얻어 분단 이후 처음으로 민간헬기가 남쪽 DMZ 내에서 소방활동을 벌이기도 했으나 최근과 같은 상황에서는 기대할 수 없다.

DMZ 내에서 산불이 발생하면 자연소멸되기를 기다리던가 아니면 남방한계선까지 접근하길 기다렸다가 진화하는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동부지방산림청 양양국유림관리소는 지난 2010년 DMZ의 산불확산을 조기에 저지하고 효율적인 진화를 위해 고성군 현내면 송현리 일원에 소화전(물탱크)을 설치했다.

500m 간격으로 4곳에 설치했으며, 한 곳당 하루 200t을 취수할 수 있다.

산불이 발생하면 소화전을 이용해 산불 진행방향에 물을 분사, 철책선까지의 산불 확산을 저지할 수 있다.

초동진화 및 산불진화차, 소방차 등에도 지속적인 진화용수를 공급한다.

기계화 산불진화시스템을 물탱크에 직접 연결, 산불진화에 활용함으로써 주요 산림자원 및 시설물을 보호할 수 있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