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토’ 아닌 ‘복토’방식… ‘2차피해’ 우려



한국광해관리공단이 청양군 남양면 구룡·대봉·흥산·매곡리 일대에서 추진하고 있는 폐광산 주변 토양오염 복원사업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28일 현지 주민과 청양군 등에 따르면 한국광해관리공단이 발주해 지난해 12월부터 공사를 시행하고 있는 옛 구봉광산(금광 및 석면광) 주변 토양복원사업이 오염된 토양을 파내 제거하는 환토방식을 택하지 않고, 오염토 위를 다른 흙으로 덮는 복토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것.

석면이 섞인 오염토 위에 30∼40㎝ 두께로 흙을 덮는 복토방식은 오염토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아니므로 향후 영농 시 로타리 작업 등으로 오염토가 밖으로 드러나 2차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게 주민들의 주장이다.

공사현장 부근에서 만난 한 농민은 “요즘은 트랙터와 경운기 등의 성능이 좋아 작업 시 흙이 깊게 파인다”며 “특히 복원된 논밭이 다른 용도로 개발될 경우 오염토가 밖으로 드러나 적지 않은 피해를 줄 것”이라고 걱정했다.

덧붙여 “공단의 복원방법은 환경부의 ‘오염이 높은 곳은 환토하고, 낮은 곳은 복토해야 한다’는 원칙에 위배되고, 생태복원이라는 원래의 취지에도 벗어난 방식”이라며 “이는 복원이라기보다 토목공사에 지나지 않는 수준으로 양질의 복원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은 “이 지역 토질은 우리 농민들이 누구보다 더 잘 알고 있다”며 “광해관리공단 등이 폐광 주변지역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부터 주민의견도 제대로 듣지 않은 채 일을 추진하는 것 같아 주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고 귀뜸했다.

이에 대해 복원사업 감리단의 한 관계자는 “복원된 논밭을 차후 타 용도로 사용할 것까지 대비해 공사를 할 수는 없지 않느냐”면서 “아무리 논밭을 깊게 갈아엎는다 해도 적지 않은 두께로 흙을 덮고 단단하게 다지기 때문에 석면 등이 검출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해명했다.

1구역(1·2공구 6만3369m²)과 2구역(1·2·3공구 40만7511m²)으로 나눠 전체 47만여m²면적에서 추진되는 구봉광산 토양복원사업에는 모두 200여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폐광산 주변의 오염된 농경지 토양을 개량·복원, 농지 본래의 기능을 회복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청양/박호현>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