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지방선거 결과를 놓고 여야 정치권에선 정치적 해석이 분분하다.

여당은 세월호 참사 여파로 이반됐던 민심이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권의 무책임하고 일방적인 정부 비판론에 위기감을 느끼며 다시 돌아섰다고 평가한다.

반면 새정연은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유권자들은 민심을 두려워하지 않는 독선적 국정운영과 오만한 여당에 대해 준엄한 심판을 내렸다고 진단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여야 정치권의 아전인수식 해석은 유권자들이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표출한 민심을 제대로 헤아리지 못하는 정치적 선전에 불과하다.

이번 지방선거 결과, 광역단체장 분포는 새누리당이 8석, 새정연이 9석으로 어느 정당이 우위를 점했다고 보기 어렵다.

특히 전통적 지지기반인 영호남을 제외하고 수도권과 충청권의 선거결과만을 놓고 봤을때는 더욱 그렇다.

결과적으로 여야 어느쪽도 표심을 일방적으로 쓸어담지 못했다. 야당의 세월호 참사책임론과 여당의 박근혜정부 지원론 사이에서 여론이 미묘한 균형점을 잡은 개표결과로 보인다. 동시에 여야 정치권 모두에 세월호 정국 이후의 행보를 깊이 고민해보라는 숙제를 안겨준 투표함 민심이기도 하다.

새누리당으로서는 이번 지방선거 결과를 나름 선방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세월호 참사 심판여론이 선거참패를 불러오는 절체절명의 정치적 위기국면을 막아냈다는 점에서다. 그러나 새누리당의 성적표는 새누리당 것이 아니다. 선거막판 꺼내든 박근혜 마케팅의 보수층 자극효과와 더불어 국정대안세력으로서의 야당의 역할을 미덥지않게 보는 민심의 반사이익을 본데 불과하다.

선거내내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에 기댔을 뿐 스스로의 존재감은 찾기 어려웠다.

새정치연합은 광역단체장 한곳을 늘렸음에도 불구하고 가슴을 열고 숨은 여론을 읽는데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당초 여당의 참패 내지 고전이 불보듯했던 이번 선거가 박빙의 혼전으로 흐른데는 여당의 선전보다는 표심을 담아낼 야당이라는 그릇의 한계가 더 크게 작용했음을 인정해야 한다. 쇄신은 정부 여당만의 몫이 아니라 야당에게도 생존의 화두라는 사실을 깨닫으라는 준엄한 민심의 요구로 새겨야 한다.

여야 정치권은 7월 재보선이 남아있기는 하나 다음번 총선까지 앞으로 2년 가까운 시간을 가지게 된다.

지방선거 결과를 향후 내부쇄신과 국정운영에 어떻게 반영하는지에 따라서 다음 총선 성적표가 달라지리라는 것은 두말할 필요조차 없다.

그 출발선은 이번 지방선거 민심을 받아들이는 기본자세다.

어느쪽도 패배나 승리로 규정하기 애매한 개표결과는 여야 정치권이 국민으로부터 똑같은 새출발과 쇄신 요구카드를 받아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변화와 쇄신의 첫걸음으로 당장 산적한 국정·민생현안, 특히 시급한 안전한 나라만들기를 위해 여야는 정치적 해석을 벗어나 초당적 협력관계 구축을 통해 민심에 부응해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