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보건연구원·포항공대 연구팀..."암 당뇨 치료제 개발에 활용"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이 포항공대와 공동으로 에이즈 완치를 위한 새로운 후성유전체 데이터베이스(DB)를 세계 최초로 구축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22일 최병선 박사 연구팀과 포항공대 노태영 교수 연구팀이 에이즈바이러스(HIV) 잠복 감염 세포주(연구를 위해 일반세포에 HIV를 잠복감염 시킨 세포) 유전체 전체를 대상으로 후성유전체 DB를 확립했다고 밝혔다.

후성유전이란 유전자 염기서열 자체 변화없이 환경, 습관, 바이러스 감염 등의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유전정보가 다르게 발현되는 현상을 말하며 후성유전체는 이같은 후성유전이 일어나는 유전자 전체를 의미한다.

에이즈 완치가 어려운 이유는 인간이 HIV에 감염되더라도 바이러스가 HIV저장소(세포)에 잠복 감염상태로 숨어있게 되면 치료제나 면역세포의 공격을 회피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번에 구축된 DB는 HIV에 감염된 세포가 감염되지 않은 세포와 다르게 발현, 서로 다른 양의 단백질을 만들어 내는 것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DB는 히스톤(유전자와 결합하는 주요단백질) 변형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분석해 HIV저장소에 HIV가 감염되어 다르게 표시된 유전자 11개를 찾아냈다"며 "발견한 유전자를 이용, 해당 저장소를 제거함으로써 에이즈 완치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앞으로 암, 당뇨와 같은 비감염성질환의 치료제 개발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에이즈 연구분야의 최고 학회지인 AIDS 저널에 게재됐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