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태 근 <청주 하나병원 흉부혈관외과 >

 

일반적으로 땀이 많이 나는 현상을 통틀어서 ‘다한증’이라고 한다. 다한증은 과도한 땀의 분비가 일어나는 부위에 따라 국소적다한응 혹은 전신다한증으로 나뉜다.

국소적 다한증은 주로 손, 발, 그리고 겨드랑이등의 접히는 부위에 많이 발생되며 각각의 이름으로 수부, 복부, 액와부 다한증으로 불린다. 전신 다한증의 경우는 피부의 온도 수용계에서 자극이 전달되기도 하지만 질병에 의해 체온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우선 땀은 우리 몸에서 체온을 조절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땀을 조절하는 중추는 교감신경계이다.

다한증이란 신경계 특히 교감신경의 과민반응에 의하여 생리적인 현상에 비해 심한 땀을 흘 리게 되는 경우를 말하는데 조직학적으로 땀샘이나 자율신경계의 이상은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별한 원인 없이 발병하는 원발성 다한증의 경우 온도의 상승이나 활동량의 증가보다는 정신적 건강상태에서 많이 나타나게 되므로 집중력을 요하는 작업의 수행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으로 사회생활에 지장을 주고 이차적인 정신적 위축을 초래한다.

전체 성인인구의 1%정도에서 원발성 발생하며 주로 사춘기에 심해지고 중년을 넘어서면서는 약간 호전되는 양상을 보인다. 다한증의 경우 약 25% 정도의 가족력을 가진다고 한다. 겨드랑이 다한증의 경우에는 아포크린선의 분비물이 세균이나 곰팡이에 감염되는 등의 이유로 심한 액취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치료방법은 매우 다양한 편이다.

우선 염화 알루미늄 성분이나 글리코피롤레이트 성분의 의약품을 바르는 방법인데 약의 효과나 유지 시간은 개인차가 있으며 일시적이고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차적으로 선택되어 지는 방법이다.

손, 발 다한증의 경우에는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지금은 흔히 적용되지 않는 방법이다.

전신 자율신경에 작용하는 약물의 경우에는 부작용이 대부분 발생되어 면밀한 약물 용량의 조절과 신중한 치료방법의 선택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된다.

흔히 ‘땀주사’로 알려진 약물을 이용한 주사요법의 경우는 비용이 과다한 반면에 효과가 지속되는 시간이 수개월로 제한적이므로 선택에 매우 신중을 기해야하는 방법이다. 보툴리눕톡신의 주사요법은 40~50군데의 주사를 맞아야 되는 불편함과 수개월의 제한적인 효과지속시간이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 알려진 치료법 중에는 가슴안쪽 척추 주변에 위치해 있는 흉부 교감신경을 흉강내시경을 이용하여 파괴하는 교감신경 절제술이 수술시간도 짧고, 수술 즉시 효과가 나타나며 영구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 가장 선호되고 있는 방법이다.

대상은 주로 손, 겨드랑이 등의 상체에 발생부위가 있는 경우에 효과적이나 수술 이후에 대부분의 환자에서 발생되는 보장성 다한증이 전체 만족도를 감쇄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보상성 다한증이란 수술 이후에 원래 땀이 나던 곳이 아닌 다른 부위에 매우 심한 다한증이 새롭게 발현하는 현상을 말하며 수술 환자의 약 15%에서는 수술을 후회하는 경우도 있다. 다한증 자체가 심각한 이차적 합병증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양호한 경과를 보인다.

가능하면 개인의 위생을 철저히 하고 국소적인 처치를 할 수 있는 약물을 사용하는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고 최후의 방법으로 수술적 치료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