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은영(논설위원 /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

▲ 최은영(논설위원 /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

구조는 잘 보이지 않는다. 그것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관심과 지속적인 비판적 시각이 필요하다. 깊은 구조는 더욱 찾아내기 힘들다. 서점에서도 사회학자나 사회철학자들의 사회분석서, 사회비평 서적이 잘 팔리지 않는 이유역시 어려운 구조를 굳이 이해하려고 애쓸 엄두가 나지 않아서일 것이다.
  예를 하나 들어보자. 요즈음 대학생들은 스펙 만들기에 여념이 없고, 더 좋은 스펙이 완성될 때까지 졸업을 유예하고 동료들보다 더 나은 입지에 오르기 위해 때로는 빚까지 지면서 경쟁에 내몰리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보람으로 귀결되는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그런데도 이러한 경향은 바뀌지 않는다. 일부는 회사에서 자리차지하고 빨리 은퇴하지 않는 베이비부머를 탓하고, 일부는 취업걱정 할 것 없이 빌딩하나 있으면 될 텐데 본인의 부모가 그런 능력이 없음을 원망한다. 이렇게 원망의 화살을 이리저리 돌리면서 스펙 경쟁을 이어가야 하는 이유가 과연 무엇인가? 
  언젠가부터 기업은 예전처럼 고졸 혹은 대졸을 채용하여 초기투자를 통해 회사에서 필요한 사람으로 훈련시키고 지속적인 훈련을 거쳐 자기 사람을 만드는 일을 그만두었다. 행태는 두 가지로 나타난다. 우선, 경력사원을 뽑는 것을 훨씬 선호한다. 이 경우 신입직원 본인, 결국은 그 부모가 투자비용을 모두 낸 후 노동시장으로 진출하거나, 다른 회사가 초기투자를 마친 직원을 빼오게 된다. 그 기업은 어찌되었든 초기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것이다. 둘째, 입사를 꿈꾸는 많은 산업예비군 중에서 인턴을 뽑아 헐값에 활용한다. 아주 극소수만 정식직원으로 뽑아주어도 모두 더 힘차게 노력한다. 나도 그 극소수에 들어갈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이 두 가지 행태모두 기업이 단기이익극대화 전략에 몰두하고 있다는 증거이고, 복지국가 태동기 때 구축된 자본-노동 간 타협정치를 통한 구조적 기반이 무너져 버렸다는 것을 뜻한다. 상위 몇 퍼센트만 뽑으면 그만인 기업은 경쟁이 격화되어도 상관하지 않는다. 청년취업 문제는 젊은이들이 스펙전쟁을 한다고 해결된 문제가 아니라는 뜻이다.
  이러한 가운데 힐링과 코칭이 관심이다. 혹자는 이를 자조산업(self-help industry)이라 부른다. 현실이 아무리 힘들고 팍팍해도 견뎌낼 힘을 얻고, 세상이 아무리 실망스럽고 좌절의 연속이더라도 용기를 잃지 않게 누군가로부터 도움을 받는다. 그리고 위로받는다. 인권과 인간성이 무시되는 상황에서도 연대하여 대안을 만들어내기보다 자기 가슴을 쓰러내리고, 아프니까 청춘이라고 견뎌내 보기로 한다. 개인적인 희망을 품고 노력하는 것을 폄하하려는 것이 아니다. 앞서서 경험과 고민을 했던 선배들에게 조언을 구하고 도움을 받는 것도 중요하다. 다만, 외로운 인간이 개체화된 상황을 그대로 둔 채 누군가를 찾아가 위로받고 지도받는다고 해서 해소될 리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은 것이다.    사회구조적으로 야기된 불확실성과 불안을 다른 개인의 위로가 해소할 수는 없다.
  더욱이 안정성, 급여수준 등 여러 측면에서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 자본수익률은 점점 높아지고, 많은 계층의 실질임금은 오르지 않는다. 결국 개인은 무한경쟁에 남겨져 다른 경쟁자를 경계하는 동안, 사회구조는 불평등을 더 고착화 시키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복지를 논하지만, 사회적 책임과 위험이 점점 개인과 가족에게 전가되고 있는 무거운 압박을 느낀다. 가족이 울타리가 되어주는 경우는 그래도 버틸 만하다. 가족에게 그러한 역량이 부족할 경우 그 가족구성원의 삶의 질은 현격히 떨어진다. 우리는 아직 개인과 국가 간의 사회적 계약을 통한 보호장치를 정교하게 만들어놓지 못했기 때문이다. 여전히 부양의무자와 가족의 일차적 보호가 요구된다.
  여유와 적절한 기대를 가지고 오늘을 살아갈 수 없는 현대인들은 초조함을 이겨내기 위해 코칭을 받고 힐링을 하도록 이끌림을 받는다. 그러나 장시간 동안 사회구조에서 발생하여 축적된 문제를 개인이 모두 극복할 수는 없다. 개인적인 방법만으로 극복할 수는 더더욱 없다. 힘들어도 구조를 바꾸어가는 노력, 개혁, 개체화된 인간들이 시민으로 만나고 작은 대안을 논의하고, 그 관계를 통해 새로운 제도를 만들어 가는 것 그것이 답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