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아 일상의 고단함과 스트레스를 내려놓고 강·계곡·하천 등 인근 물놀이 장소를 찾는 피서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올해는 연일 계속되는 찜통더위 속에 시원한 곳을 찾아 달콤한 휴식을 만끽하고자 하는 피서객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이라는 단어 없이는 여름휴가의 설렘과 행복도 한 순간, 지난 1일 전남 구례에서 가족들과 함께 물놀이를 하던 중 물살에 휩쓸려 목숨을 잃는가 하면 충북 단양 남한강에서 물놀이를 하던 일행이 급류에 휩쓸려 2명이 사망하는 등 해마다 반복되는 물놀이 안전사고로 주위의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이에 공주소방서는 물놀이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시민들에게 한층 더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는 한편, 7~8월 운영 중인 119시민수상구조대를 공주 지역의 주요 피서지에 배치해 인명구조와 응급처치 등의 대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19시민수상구조대는 1일 4회 이상, 2인 1조로 통천포, 화월보, 용수천 등 각각의 배치 장소에서 순찰을 실시하고 있으며, 더불어 안전사고 예방 캠페인, 물놀이 안전교육 및 물놀이 시설 운영 실태 조사와 현장 점검 업무 등을 겸하고 있다.

하지만 119시민수상구조대의 이런 노고에도 불구하고 물놀이 안전사고는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어 안타까움을 사고 있다.

우리가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민 여러분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물놀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수칙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와 심폐소생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첫째, 물놀이를 하기전에는 손·발 등의 경련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고 구명조끼를 착용한다.

둘째, 물에 처음 들어가기 전 심장에서 먼 부분부터(다리·팔·얼굴·가슴 등의 순서)물을 적신 후 들어간다.

셋째, 수영 도중 몸에 소름이 돋고 피부가 당겨질 때에는 몸을 따뜻하게 감싸고 휴식을 취한다.

넷째, 물의 깊이가 일정하지 않고 갑자기 깊어지는 곳은 특히 위험하니 깊이를 알고 있는 곳에서만 물놀이를 한다.

다섯째, 물놀이 중에는 껌이나 사탕을 먹지 않는다.

여섯째, 자신의 수영능력을 과신하여 무리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

일곱째, 10세미만의 어린자녀를 동반하거나 보호자 없이 온 어린이의 경우에는 안전요원이 배치된 장소에서 반드시 물놀이를 하도록 하고 보호자는 곁에서 주의 깊게 지켜보아야 한다.

여덟째,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하면 주위에 소리쳐 알리고(즉시119에 신고) 구조에 자신이 없으면 함부로 물속에 뛰어들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수영에 자신이 있더라도 가급적 주위의 물건들(튜브, 스티로폼, 장대)을 이용한 안전구조를 한다.

다행히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했다면 먼저 의식을 확인하고, 호흡과 맥박이 정상이라면 편안하게 환자를 눕혀서 몸을 따뜻하게 해주며 안정을 시켜줘야 한다. 만약 환자 호흡이 멈춘 상태라면 신속히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

심폐소생술 방법은 △환자 반응 확인 △119신고 △호흡 확인 △가슴 압박 30회 시행(5cm 깊이, 분당 100~120회) △인공호흡 2회 시행 △가슴 압박 및 인공호흡 반복 △회복 상태 확인 등 7가지 단계로 환자가 깨어나거나 구급차가 도착할 때까지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멈추지 말고 반복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이런 물놀이 안전수칙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잘 지켜지지 않는게 현 실정이다. 모든 안전사고에 있어 안전의식과 철저한 예방만큼 확실한 대비책은 없다.

안전의식 결여가 단란한 내 가정의 행복을 송두리째 앗아간다는 점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나의 생명과 안전을 스스로 지키고자 하는 실천의식을 시민 여러분들이 함양할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휴가철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최선의 방책이 될 수 있음을 거듭 강조하며, 가족과 이웃 모두가 보람 있는 여름휴가를 즐길 수 있기를 바란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