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에 와서 각종 공사를 하는 대형업체들의 지역업체 외면이 도를 넘어섰다는 지적이 꾸준이 제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이같은 지적은 공허한 메아리로 되돌아올 뿐 시정조치 소식은 들리지 않아 안타깝기 그지 없다.
지역업체 외면은 사기업 뿐만 아니라 공공기관도 예외는 아니어서 우리 몫을 지키기 위한 충북도와 각 시·군의 적극적인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충북개발공사는 오송2산업단지 101억원 규모 조경공사를 전국 단위 입찰로 공고해 지역 조경업체들의 반발을 샀다. 지역업체들이 반발하는 이유는 이 입찰 기준에 들어가는 도내 업체는 한 두개 밖에 안되고 외지업체에게 넘어가면 지역업체는 기껏 35% 정도만 하청받아 일만 죽어라 하고 실익은 없다는 주장이다.
개발공사측은 지방계약법 시행령상 100억원 이상 공사는 전국 발주를 하도록 돼 있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되레 지역업체의 하도비율을 9%로 늘려 49%로 확대했다고 항변하고 있다.
일각에선 공사금액이 겨우 1억여원 밖에 넘지 않는데 공사현장을 몇 개 공구로 나눠 발주했으면 이런 민원은 생기지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12월말 한국농어촌공사 전남본부는 123억원 규모의 담양지구 재해대비 수리시설 개·보수 사업 토목공사를 40여 억원씩 3개 공구로 나눠 지역업체 참여를 보장했다.
강원 양구군도 지난해 5월말 70억원 짜리 해안면 현리 일원 해안지역 비점오염저감사업 시설공사를 3개 지구로 나눠 입찰을 실시했다.
충북 업체들의 불만은 타 시·도에서는 지역업체 보호를 위해 외지업체 입찰 참여를 가능한한 제한하는 정책을 펴는데 비해 충북의 지자체들은 법만을 내세워 지역업체 보호에 소극적이라는데 있다.
충북의 업체들은 타 시·도에 가서 공사수주를 하는 게 하늘의 별따기 만큼이나 어려운게 현실인데도 충북은 안방마저 외지 업체에 내 주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탄식한다.
또 비록 민간업체이긴 하나 도내에서 아파트 등 대형공사를 하는 외지 업체들도 지역업체를 외면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청주방서지구에서 대단위 아파트 공사를 하는 한 업체는 ‘철저하게’ 자기 연고지역 업체에게 하청을 주면서 지역에서 조달할 수 있는 자재까지도 외지에서 구매하고 있을 정도다.
오죽하면서 이 업체의 행태를 두고 못 하나도 외지에서 들여오고 있다고 비아냥거릴까.
충북도도 전국대비 4% 충북경제 달성에 메달려 기업유치에만 올인할 게 아니라 지역자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 정책을 펴야 한다. 집안의 깨진 바가지에서는 물이 줄줄 새는데 외부 자금 유입에만 눈을 돌린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가장 좋은 방법은 지역업체가 원청이 되도록 발주처의 전향적 자세가 필요하다. 본사를 충북에 둔 업체가 공사를 따게 되면 지역업체들을 쓸 수 밖에 없다. 또 지역업체를 외면하면 공사하기 힘들다는 인식을 외지업체에게 심어 줄 필요도 있다.
따라서 자치단체장의 의지가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 공무원들이 규정에만 얽매이지 않고 지역을, 공익을 위해 열심히 일하는 풍토는 단체장의 리더십에서 나온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