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대학수학능력시험이 2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입시제도가 또다시 요동치고 있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자녀의 입시 관련 의혹으로 대학입시가 사회적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입시제도 전반에 대한 재검토를 지시했기 때문이다.

당장 대학입시를 치러야 하는 학생과 학부모들은 혼란이 가중됐다.

문 대통령은 지난 1일 대학 입시제도 전반을 재검토해달라고 언급하면서 수시냐 수능이냐는 대입제도 논의가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우선 지난해 결정된 ‘2022학년도 정시 30% 선발’을 넘어 대폭적인 정시 확대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수능 중심의 정시가 확대되면 전국의 수험생을 한 줄로 세우는 대입제도로 회귀할 것이라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교육부는 문 대통령의 이 같은 검토지시와 관련 2일 대통령 동남아시아 순방을 수행 중인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귀국한 이후인 4일부터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큰 틀의 계획이 나와 있는 2022학년도 입시 계획에는 큰 변동이 없고 다만 학생종합전형(학종) 방법 개선 등은 가능하다는 것이 교육부의 설명이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딸의 대입 논란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조 후보 자녀는 2010학년도에 지금의 수시 학종 격인 ‘세계선도인재전형’으로 고려대에 들어갔다.

이번 문 대통령의 언급으로 논란이 큰 학종 비중을 줄이고 수능 중심의 정시를 확대하자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원래 수험생의 잠재력과 인성까지 감안해 선발하자는 취지에서 2008년 ‘입학사정관제’가 도입됐다.

그러나 있는 집 자녀들이 특기, 봉사활동 경력을 쌓아 대학에 들어가는 통로로 활용된다는 비판이 일자 2014년부터 학교 밖 수상 경력이나 논문·도서 출간 경력 등은 밝히지 못하도록 하면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바꿨다.

하지만 이번엔 일선 고교들이 각종 교내 대회를 개최해 상장을 남발하고 전문 컨설트가 붙어 고1 때부터 스펙을 쌓아가는 식의 ‘컨설팅 학종 관리’가 번져 나갔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그동안 학종 공정성 개선방안을 계속 검토해 왔고 청와대와도 협의 중이다.

문 대통령이 구체적인 정책 변경 방향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이번 발언의 계기가 된 조 후보자 자녀와 관련된 의혹이 학종으로 대표되는 수시 전형의 공정성과 연관돼 있기 때문에 수능을 중심으로 하는 정시 확대 또는 학종 보완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대통령의 발언이 해묵은 ‘수시 대 정시’ 논쟁을 격화시킬 우려가 높은 만큼 빠른 시일 내에 구체적인 개편 방안을 제시해 혼란을 최소화해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