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피해 예상면적 330㏊…도내 과수원 6.9%
충북도·농촌진흥청 치료·방제기술·저항성대목 개발

충북도내 연도별 과수화상병 발생위치
송용섭 충북농원기술원장이 16일 충북도청 대회의실에서 과수화상병 발생상황과 대책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동양일보 지영수 기자]충북 도내 과수화상병 확산세가 7월 중순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여 방역 당국과 과수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송용섭 충북도농업기술원장은 16일 브리핑을 통해 "기상조건을 고려할 때 다음 달 중순까지는 과수화상병 감염 농장이 지속해서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송 원장은 "피해 예상면적은 330㏊(약 470농가)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보상금은 9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이 예상대로라면 도내 사과·배 재배 면적(4819㏊)의 6.9%가 피해를 보는 셈이다.

현재까지 도내 과수화상병 발생면적은 2015년 이후 피해가 가장 컸던 지난해 145곳 88.9㏊의 2.5배 수준에 이른다.

충북농업기술원 집계 결과 전날 기준 도내 과수화상병 확진 농가는 391곳 221.8㏊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충주 276곳 158.9㏊, 제천 104곳 57.1㏊, 음성 9곳 5.1㏊, 진천 2곳 0.7㏊이다.

첫 발생 시기는 지난해보다 나흘 빨랐고, 과수원 1곳당 감염된 나무 비율을 나타내는 평균 발생률은 지난해 1.1%에서 13%로 급증했다.

또 지난해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반경 2㎞ 내에서 추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충북농업기술원은 지난 겨울(지난해 12월∼올해 2월)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2∼3도 높았고, 잦은 비로 고온다습한 환경이 만들어져 과수화상병 잠복 세균이 동시다발적으로 발현된 것으로 추정했다.

봄철 이상저온으로 나무의 저항력이 약화한 것도 또 다른 이유로 꼽았다.

충북농업기술원 관계자는 "과수화상병 세균이 퍼지고 있다기보다는 잠복 세균이 기상 호조건을 만나 발현해 감염 밀도가 높고, 발생 농가도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과수화상병은 마땅한 예방법이나 치료약제가 없어 감염 농가의 나무를 신속히 매몰하는 것 외에는 뾰족한 대안이 없다.

이에 따라 도는 농촌진흥청에서 파견 나온 식물방제관을 충주와 제천에 배치하고, 의심 신고가 들어온 농가 현장에서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기존 11∼14일 걸렸던 매몰 기간도 7∼10일로 단축했다. 현재 확진 농가 391곳 중 148곳 90.1㏊의 매몰 작업이 완료됐다.

도는 행정부지사를 위원장으로 '과수화상병 종합대책 수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발생 과수원 폐원과 보상 방안, 대체 작물 개발, 지역 사과 산업 경쟁력 강화 등의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특히 농촌진흥청과 협력해 생물안전 2등급(BL2급) 격리연구시설을 활용, 효과적이고 근본적인 치료와 방제기술 개발에 나선다.

이를 통해 방제약제, 저항성 대목과 무병징 과수 진단기술을 개발하고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대체작물 지원과 소득화 시범사업 등 기술지원을 신속히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또 사회재난에 식물병해충 확산을 포함하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일부 개정법률안을 발의, 공적방제 관련 예산 신속지원의 토대도 마련할 계획이다.

송 원장은 "과수화상병 문제가 최대 현안임을 인식하고 현장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며 "근본적인 해결책을 강구해 지역 과수산업이 재도약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지영수 기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