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유환권 기자] 마약 청정국, 우리가 그래도 세계적 자랑거리로 삼아왔던 국가 사회적 지표였다.

UN에서 인구 10만 명당 마약류 사범이 20명 이해야 인정되는 마약 청정국의 지위인데 아쉽게도 2016년에 그걸 잃었다.

문제는 거기서 그치지 않고 마약 사범이 급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마약은 이제 멀리 있는 '이상한 물건'이 아니라 우리 옆에 ‘평범한 이웃’처럼 다가와 목을 죄는 위협적 저승사자가 돼버렸다.

충남경찰청이 올해 3월부터 약 3개월간 마약류 사범 집중단속을 벌였는데 그 결과 165명을 검거하고 40명을 구속했다고 한다.

문제는 검거 인원이 작년 같은 기간(105명)보다 57.1% 늘었고, 구속자도 66.7%(지난해 24명)가 증가했다는 점이다.

연령대는 더 큰 충격이다. 20대(24.8%), 30대(23.6%)가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저연령화에 더해 이제는 대도시 뿐만 아니라 지방 중소도시에까지 급속도로 퍼지고 마약 범죄를 일으킨다고 한다.

마약은 특성상 은밀한 곳에 숨어 적은 인원이 몰래 투약하는 것으로만 알았지만 요즘은 아예 내놓고 투약 행위를 하는 추세다.

유흥주점에서 마약이 들어간 줄 모르고 손님 일행과 술을 마시던 여성 종업원이 숨지고, 술잔에 마약을 탄 자신이 차량에서 사망한 사건도 최근 서울에서 발생한 일이다.

방송 뉴스에서는 좀비 마약(펜타닐)에 취해 정말로 좀비처럼 흐느적거리며 길거리에서 비틀대는 해외 사례도 소개된다. 이게 남의 나라만의 일이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의 위기이기도 하거니와, 당장 우리 충남도 안심할수 없는 지경이라는 사실이다.

마약이 일상으로 파고든 건 유통 경로의 다양화에 기인한다. 특히 SNS나 온라인 상으로 퍼지는 마약 유통이 큰 문제다. 인터넷과 휴대폰 사용에 익숙한 청소년들에게는 그게 마약 유통의 고속도로나 다름없다.

아울러 동남아 등 외국인 근로자나 불법 체류 외국인들에 의해 퍼지는 유통경로도 문제다.

마약이 개인의 정신과 육체는 물론 국가사회 전체를 위기에 빠트리게 할수 있다는 점에서 사법당국이 확산 방지를 위해 더 노력해 줄 것을 당부한다.

당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마약사범들의 유통과 투약 수법 역시 갈수록 진화하므로 더 강력하고 전문적인 수사기법으로 마약 사범을 막아주기 바란다.

아울러 재범률이 높은 마약사범 특성을 고려해 마약 치료센터의 확대 등도 염두에 두자.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