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 동양일보 기자]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가 13일 총파업에 들어갔다. 2004년 이후 19년 만의 총파업이다.

보건의료노조에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약사 등 60여 직종이 속해 있다. 이들이 의료 현장에서 손을 놓으면 혼란은 불가피하다. 전국 6만여 조합원 중 4만5000여 명이 파업에 참여했다고 한다. 대전.충남에서는 14개 지부 4500여 명이 파업에 참여했다.

노조는 13~14일 이틀을 파업 일정으로 잡았지만 문제는 기간이 늘어날 때다. 병원과 노조 협상이 타협점을 찾지 못해 대화를 중단한 곳이 전체 145개 병원 가운데 130곳에 달한다. 장기 파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가뜩이나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의료 공백으로 안타까운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장기화할 경우 국가 의료 체계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노조 측은 간호사·간호조무사·의료기사 등 보건의료 노동자의 근무 강도와 처우 개선, 공공의료 기관에 대한 지원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코로나19사태가 한창이던 2021년 9월에도 총파업을 예고했지만,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돼 파업을 철회한 바 있다. 노조는 당시 정부가 약속한 지원 강화를 포함한 합의 사항의 진전이 없다고 주장한다. 이번 파업은 보건의료노조 조합원 중 간호사가 주도하고 있다. 노조는 총파업의 가장 큰 이유로 ‘만성적인 간호 인력 부족’을 내세웠다.

코로나19가 극성일 때 사투를 벌이던 간호사들의 모습은 온 국민의 가슴을 먹먹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그들의 근무환경과 처우의 열악함 또한 여실히 드러났다. 이는 정부도 충분히 인정하는 바다. 그렇다면 의료인력 대란과 공공의료 붕괴를 막을 실질적인 해법을 내놓으라는 노조 측 요구를 정부는 진지하게 새겨들어야 한다. 노조 측 요구를 당장 전면적으로 수용하기에는 예산 확보나 제도 정비 등에서 많은 제약이 따를 테지만, 그럼에도 진정성을 갖고 끝까지 노조를 설득하고 중재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파업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는 게 급선무지만, 정부와 노조는 의료현장 혼란이 없도록 지금부터라도 대화의 문을 열어놓고 해법을 찾기 바란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