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신소재, 바이오에너지, 디지털바이오 등 본격 육성

[동양일보 도복희 기자]최근 글로벌 시장은 세포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등 혁신 바이오의약품이 주도하고 있다. 차세대 모달리티(치료접근법) 부상, 신약개발과 제조 간 분업화 가속화 등 새로운 트렌드가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바이오의약품 제조 기술의 초격차를 확보하고 바이오신소재, 바이오에너지, 디지털바이오 등 바이오산업을 본격적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오는 2030년까지 바이오경제 생산 규모 100조원, 수출 규모 500억달러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서울바이오허브에서 이창양 장관 주재로 ‘바이오경제 2.0 원탁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을 발표했다.<사진>

산업부는 바이오경제 도약을 위한 추진 방향으로 △2030년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국 도약 △바이오신소재 산업 활성화 △바이오에너지 상용화 △디지털바이오 혁신생태계 구축 △바이오경제 기반 구축 등 5개 항목을 제시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15조원의 민간 투자를 지원한다.

이와 관련해 현재 백신 기술만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된 것을 바이오의약품까지 넓혀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투자세액 공제를 대폭 확대한다.

전략적 외국인 투자유치 등을 통해 현재 5%인 원부자재 국산화율을 2027년 10%, 2030년 15%까지 높인다.

또 예타 기획 중인 ‘한국판 BioMADE(바이오메이드)’를 설립해 차세대 바이이오의약품 제조역량을 강화하고, 바이오 국가첨단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산업, 친환경 섬유 등 바이오신소재 산업도 활성화한다.

이를 위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환경표지인증 유효기간을 늘리고 바이오가스화 실증, 표준개발 등을 통해 생분해성 플라스틱 산업 기반을 마련한다.

아울러 현재 국내에서 활용 중인 바이오 납사(Naphtha) 5만t을 전량 수입하고 있지만, 원료기술 개발을 통해 2030년 연간 20만t까지 국내 생산할 계획이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바이오항공유와 바이오선박유의 실증연구를 추진한다.

수소를 첨가한 바이오디젤 실증연구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연료혼합의무(RFS) 비율을 2030년 8%까지 상향할 계획이다. 현재 RFS 목표는 5%다.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한 디지털바이오 혁신 생태계도 조성한다.

이를 위해 100만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바이오 데이터의 국가간 교류 등을 통해 바이오데이터를 활용할 기반을 만들 계획이다.

규제개선, 실증, 인증 등을 통해 2030년 디지털헬스 서비스 50건을 상용화하고 AI를 활용한 디지털치료기기 기술도 지원한다.

도복희 기자 phusys2008@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