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형은 중원미술가협회장

문형은 중원미술가협회장

[동양일보]문화예술 한류가 시작됐고, 우리나라 문화예술도 지구촌 이목을 받기 시작했다.

한반도 중심도시 충주는 중원 문화예술이 살아 숨 쉬는 도시로 문화적 가치 재조명과 도심 활력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펼치고 있다.

또 지역 예술인과 함께 충주중원문화재단이 변화하는 예술환경 속에서 지역 작가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프로그램개발에 집중, 지역 문화예술 생태계 안정성 확보와 질적 확대를 위해 다양한 활동여건을 만들고 있다.

하지만 철저한 빈곤의 악순환 문제를 풀지 않고는 문화예술도시로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여러 가지 해소책 가운데 하나로 작가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는 유통방식을 상정할 수 있다.

어느 지역이든 예술가들이 곳곳에 자신의 작업실을 갖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지방자치시대 문을 연 지 30년이 지났지만, 문화예술계 수준은 실로 심각하다.

충주지역 예술인들은 충주중원문화재단 후원으로 스튜디오를 열고 관심 있는 지역주민과 다른 지역 애호가들이 작가 작업실을 직접 방문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수많은 예술인에게 공감을 끌어낼 수 있도록 확대 운영하길 권고해 본다.

현재는 자치단체장의 문화예술 의식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를 위해 지자체장의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충주의 현주소는 역동적으로 움직이지만, 지역적이고 토착화되지 않도록 내실 있는 재단 역할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밖에도 갤러리와 아트페어 옥션 기능이 담당하지 못하는 제3의 미술 유통공간과 이 공간 주인공은 아직 갤러리 초대를 받지 못하고 옥션에도 오르지 못하고 있다.

이른바 미술계의 소외된 작가들이다.

자칭 ‘아트 반(Art Ban)’으로 불리는 이 거대한 문화예술 공간은 많은 작가가 저렴한 임차료로 연중 수시로 창작활동과 전시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충주의 미래와 문화예술인들의 꿈일 것이다.

그 꿈이 이뤄지면 시장성을 외면한 용기 있는 실험 작가들의 발표장이자 유통공간이고, 미술계의 종(種) 다양성을 보존하는 소중한 창작활동 공간이 될 것이다.

‘아트 반(Art Ban)’은 전국 어느 도시에서도 이루지 못했지만, 문화도시를 꿈꾸며 중원문화가 살아 숨귀는 충주에서 실현되길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다.

이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지자체의 지대한 관심과 함께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고, 충주중원문화재단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아트 반’을 건립해 문화예술 분야 부흥을 이뤄야 한다.

중국은 2017~2020년 세계 최대 예술품 시장으로 떠올랐고, 미국과 영국이 그 뒤를 이었다.

홍콩을 포함한 중국은 2020년 세계 미술 경매시장 총 매출 45.4%를 차지했다.

2022년 기준 한국 미술 경매시장 규모는 980억원 정도로 세계 경매시장 규모에 비하면 지극히 미미한 수준으로, 경매를 포함해 국내 미술시장의 연간 총 거래액은 약 6223억원이다.

같은 시기 두부 시장 6300억원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세계가 예술경제를 국가정책 차원에서 논의하고 진흥할 때 우리나라 전직 대통령이 보유한 예술품 은닉이 화제가 됐다.

불법증여와 로비, 탈세로 예술품을 얼룩지게 하는 이면에는 생계유지조차 어려운 절대다수의 예술인들이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021년 조사한 문화예술인 실태조사 결과 월수입이 100만원에 못 미치는 예술인이 68.5%에 이른다고 한다.

옥션 경매는 주로 저명한 작가의 작품 위주로 진행되고, 갤러리들은 시장성이 증명된 작품을 선호한다.

충주에서 살아가는 작가 대부분이 이 같은 주류들의 유통 시스템에 편입되지 못한 채 작업실마다 소비되지 않은 작품들이 쌓여간다.

전국적으로 볼 때 예술 잉여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역사의 보고인 중원문화와 충주중원문화재단에 거는 기대가 클 수밖에 없다.

이와 함께 문화예술인들은 사회기반을 조성해 예술생산자와 향유자가 상생하는 새로운 예술 생태계를 만들어 가는 역할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예술을 위하여….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