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무성 수필가

함무성 수필가

[동양일보]앞뜰에 안개가 자욱하다. 매미의 계절이 어느새 가고 거미의 계절이 왔나. 정원 이곳저곳에 거미줄이 부옇다. 촘촘하게 올을 짜서 레이스처럼 펼쳐놓았다. 거미들이 지난밤에 나무 사이에 설치미술작품을 만들어 놓았나 보다. 호랑거미와 무당거미들이다.

거미는 곤충이 아니다. 거미에게는 날개도 없고 여덟 개의 긴 다리와 머리는 가슴에 붙은 채 통통한 배를 가졌다. 나는 이 괴이한 절지동물에게 호감이 갈 리 없었다. 더구나 덫을 놓아 남을 옭아매는 기분 나쁜 동물이 아니던가.

아침 이슬이 걷힌 후에도 덩치 좋은 무당거미는 제 집 한가운데서 미동도 없다. 시력도 약하고 날개도 없는 거미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그물을 칠 수 밖에 없겠다. 항문 근처의 방적돌기에서 자아내는 실로 세로줄을 먼저 놓고, 밖에서부터 안쪽으로 빙글빙글 돌아 들어가며 가로줄을 친다.

거미줄은 공학적이다. 자연과학에서 공업생산기술을 연구하려는 데는 거미만한 동물도 없을 것 같다. 설계도 섬세하고, 재질은 가볍고 질기며 끈적인다. 그 끈적임은 가로줄에만 있고 세로줄에는 없다하니, 여덟 개의 다리로 더듬어 세로줄로만 다니는 거미는 제 몸은 절대 줄에 걸리지 않는다. 파리나 나비, 벌들에게만 ‘죽음의 덫’이다.

거미에게 있어 거미줄은 생존을 위한 진지한 사고의 도구이다. 거미줄을 조율하는 것은 자기 자신의 정신도 함께 조율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가 보기에 한낱 미물도 이토록 진지하다.

아침 출근을 서둘렀다. 불경기지만 그래도 사무실을 비울 수는 없다. 홀로 제 영역을 목숨 걸고 지키는 거미처럼 내 영역도 지키자.

어항속의 ‘구피’에게 먹이를 주고 그동안 쌓아 놓은 신문 뭉치와 빈종이 상자 등을 정리하고 폐지를 모으는 ‘연이’ 아주머니에게 전화를 했다. 환갑을 훌쩍 넘은 그녀는 뇌졸중으로 쓰러져 집안에서만 생활하는 남편을 대신해서 일거리를 찾아 나섰다. 리어카를 이용하여 폐지와 고물을 모아 파는 일이다. 산더미 같은 폐지와 고물을 오전에 한 리어카, 오후에 한 리어카를 모아 고물상으로 가면 일만 5000원 남짓 받는다고 했다.

그 돈으로 두부 한모와 라면, 남편의 주전부리로 건빵 한 봉지를 사면 끝이다. 그녀 자신도 당뇨병을 앓고 있으면서 쇠약해진 몸으로 리어카를 잡고 다니면 그녀가 리어카를 끄는 것인지, 리어카가 그녀를 미는 것인지 알 수도 없다.

까맣게 그을린 얼굴에 팔, 다리도 앙상한 그녀는 율량동, 사천동, 주중동을 거미줄을 늘이듯 온종일 걷는다. 그녀는 얻어 입은 허름한 옷에, 발에 헐거운 운동화를 신고, 뒤로 질끈 동여맨 머리위에는 낡은 야구 모자를 썼다.

나는 그녀를 위해 내 사무실 주변에서 눈에 띄는 폐지를 얼른 주어모아 사무실 구석에 쌓아 놓는다.

그녀의 동선마다 거미줄 같은 삶의 통로가 놓인 듯하다. 나는 그녀에게 ‘천사거미’라고 별명을 붙였다. 아픈 남편은 그녀 삶의 원동력이고, 걷고 또 걷는 일는 그의 몸과 강인한 정신력을 키워주는 도구이다. 그녀는 꿋꿋이 제 삶을 가꾸는 거미를 닮았다.

퇴근해서 바로 아침의 그 거미집을 관찰했다. 몇 마리의 벌들과 당랑권을 자랑하던 사마귀도 거미줄에 돌돌 감겨있다. 무당거미는 망가진 제 집을 입체적으로 줄을 놓으며 부지런히 보수하고 있었다.

나는, 홀로여도 당당한 그 무당거미를 사랑하게 되었다. 거미가 그렇게 하듯 느슨해진 내 인식의 줄도 팽팽히 당겨본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