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 전부터 마무리까지 법정 문화도시 청주 전 과정 주도

[동양일보 김미나 기자]정부는 전국의 도시 중 5년간 최대 100억원의 국비를 지원하는 법정 문화도시를 2019년에 첫 지정했다. 그 중 한 도시가 바로 청주다.

올해로 4년차. ‘문화도시 청주’라는 단어가 이제 낯설지 않은 이유는 ‘기록문화 창의도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온 실무자들 덕분일 것이다.

김미라(50‧사진)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문화도시센터장은 정부의 법정 문화도시 공모의 시작부터 현재 진행중인 온갖 사업과 5년차가 마지막인 이 사업의 마무리까지 문화도시 청주의 전 과정을 주도하고 있는 ‘문화도시 청주’의 진짜 주역이다.

김 센터장은 “2016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특화지역조성사업을 진행하면서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이 업무를 시작하게 됐다”며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바로 법정문화도시 사업 공모가 나올거라고 예측한 상황에서 청주가 무조건 문화도시로 지정 받아야 한다는 생각만으로 겁 없이 뛰어들었는데 지정과정에서 엄청난 경쟁률 때문에 놀랐고 과정 역시 매우 힘들었다”고 고백했다.

청주가 문화도시에 선정되지 않으면 재단의 미래도 자신의 미래도 없다는 필사적인 마음으로 임했다는 김 센터장.

여러 노력들이 합쳐지면서 우여곡절 속에 법정 문화도시에 지정된 청주는 그동안 다양한 성과를 냈다.

김 센터장은 문화도시 사업을 통해 시민 뿐만 아니라 지역의 예술가, 청년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청주를 기록하고 콘텐츠를 만들고 문화공간을 만들었다는 것을 성과로 꼽았다.

특히 주민들의 공동체를 회복하고 주민 스스로 기록해 마을의 정체성을 만드는 동네기록관과 시민들의 기록물을 집대성한 기록특화 허브공간 시민기록관을 개관했다는 점을 들었다.

또 청년들이 청주의 자원으로 문화상품을 만들어 한 곳에서 판매하는 오프라인매장 청년문화성점 ‘굿쥬’ 오픈도 성과다.

그는 “문화도시 사업에 참여한 시민들은 문화예술을 즐기는 향유자에서 우리 도시를 고민하고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주체적인 역할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변화”라며 “시민위원, 기록활동가, 청년활동가 등 직접적인 워킹그룹들은 다양한 일거리를 찾았고 문화도시사업 안에서 로컬크리에이터로 또는 전문단체로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모든 사업에는 시작과 끝이 있지만 문화도시 사업은 지속성이 첫 번째 과제”라며 “당초 문화도시사업의 5년간의 예산은 씨드머니 역할이고 이후 지자체의 의지로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을 마련해 지역의 고유문화가치 증진을 통한 문화균형발전이 목표다. 내년 국비사업 종료 후 어떻게 지속할 것인가에 대한 출구전략 마련이 앞으로 남은 숙제”라고 강조했다.

청주가 고향인 그는 충북대사범대학부속고, 청주대 광고홍보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 예술경영학과에서 석사, 배재대 예술행정 박사 과정을 밟았다. 충청대기업엔컴패스 기획팀장과 음성군 문화예술회관팀장을 거쳐 2015년 재단 문화예술부장으로 입사해 문화도시재생팀장, 시민문화상상팀장, 문화도시팀장 등을 역임했다. 글·사진 김미나 기자 kmn@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