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균 충북도의회 교육수석전문위원

박영균 충북도의회 교육수석전문위원

[동양일보]아침 식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수많은 의학적 연구로도 입증된 사실이다. 의사들은 우리 아이들의 키가 더 잘 자라기 위해서는 식사, 수면, 운동의 3박자가 고루 잘 갖춰져야 하며. 하루 세끼 식사를 거르지 않도록 하고, 특히, 하루의 에너지를 비축하는 아침 식사는 반드시 챙겨 먹는 게 좋다고 한다. 아침 식사는 성장뿐 아니라 뇌로 가는 혈류를 충분하게 해 학습 효과의 증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입을 모은다. 질병관리청 국민건강 통계에 따르면 우리 국민 아침 식사 결식률이 34.6%이고, 청소년은 39.5%이며, 대학생은 53%로 더 심각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더 큰 문제는 초등학생부터 시작되는 아침 식사 결식이 대학까지 이어진다는 점이다. 정부(농림축산식품부)는 이미 2019년에 초등학생 대상 ‘아침 간편식 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인천, 전남, 강원 3개 지역 8개 초등학교가 참여하여, 2,230명의 초등학생에게 쌀 가공식품을 활용한 아침 간편식을 제공했다. 물론, 학생, 학부모와 지역주민들의 호응과 평가가 좋았다. 몇 년 전부터 시작한 대학의‘1000원의 아침밥’사업도 학생들의 큰 호응에 정부는 69만명에서 150만명의 규모로 2배 이상 늘리기로 했으며, 지자체 등 사회단체, 공공기관의 참여도 권장하고 있다. 각종 사회단체도 청소년 아침결식 예방 캠페인, 아침밥 먹기 국민운동을 다양하게 펼치고 있다. 모든 국가 정책의 출발은 국민들의 니즈를 바탕으로 한다. 충북교육청 등 시도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학생 아침 간편식 사업’도 학생, 학부모 등 도민들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범 운영계획 수립조차 하기 전부터 일부 교육단체는 반대다. 반대 단체들이 주장하는 ‘밥상머리 교육이나 가정교육은 학교 교육보다 정서적으로 중요한 의미와 역할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아침 식사를 같이 한다는 것은 단순히 한 끼를 때우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면서 ‘아침 식사까지 학교에서 책임져야 하는 것이 맞는지 숙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전제가 잘못됐다. 현실 인식이 없는 전제이기 때문이다. 아침 식사를 거르는 학생들이 많은 이유가 맞벌이 등으로 가정에서 아침 준비가 어렵고, 이른 등교시간과 교통체증, 학습부담, 부족한 수면시간 등 우리 사회의 불가피한 학생 결식 문제에 대한 해결 대안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아침식사를 챙기지 못하는 취약계층 학생에 대한 지원은 복지 차원에서 지자체 사업으로 제안하고, 업체를 통해 가정에 직접 배송하는 방식의 대안도 어불성설이다. 학생 결식 문제는 교육청의 고유 업무이므로 이를 지자체로 이관할 수도 없지만 이관되지도 않는 일이다.

또한 ‘자원봉사자 선정 및 운영, 아침간편식 대상자 선정, 메뉴선정, 간편식 보관, 배식관리, 책임 등 아침간편식 시범사업과 관련된 업무는 결국 교원이 하게 될 것’이라며, ‘학교 구성원의 업무 부담은 더욱 가중돼 교육 본질에 집중할 수 없게 만드는 상황을 만들 수밖에 없고, 나아가 간편식 수급자 형평성문제, 0교시 부활’ 등을 주장하지만 이는 각계 단체로 구성하는 협의회에 참여해 숙의하고 소통하여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할 일이지 미리 예단하고 참여를 거부하며 사업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교육구성원으로서의 책임 있는 자세는 아닐 것이다.

우리 아이들이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의 노력과 헌신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어느 특정 일방의 희생을 강요할 수도 없지만 강요해서도 안 된다. 여러 가지 방안을 열어두고 가장 합리적이며 효율적인 아침간편식 사업계획이 마련되기를 바란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