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탑사 지장전.

[동양일보 조경민 기자]충북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 보련산에 가면 조계종 소속 사찰 '보탑사(대스님 지광)'를 찾을 수 있다.

이 사찰은 1992년 대목수 신영훈과 여러 장인들이 건축에 참여하며 시작됐다.

1996년 8월 3층 목탑 완공을 시작으로, 지장전·영산전·산신각 등 건립을 거쳐 2003년 사찰 구성을 마쳤다.

대동여지도에 따르면 본래 이곳은 다른 사찰의 절터다.

또 ‘진천 연곡리 석비’의 연대로 미뤄볼 때 고려시대 절터로 추정되고 있다.

비록 역사가 짧지만 보탑사는 절터에 창건한 만큼 전통을 이으려는 노력도 엿볼 수 있다.

3층 목탑은 황룡사 9층 목탑을 모델로 삼아 오르내릴 수 있는 탑이다.

황룡사 목탑이 주변국을 통일하려는 염원을 담았듯 보탑사도 한반도 통일을 기원하는 뜻에서 1층 대웅전에 사방불(동방 약사우리광불, 서방 아미타여래불, 남방 석가모니불, 북방 비로자나불)을 모셨다.

강원도산 소나무를 재료로 하는 이 목탑은 높이 42.73m, 상륜부 9.9m로 14층 아파트(52.7m)와 비슷한 높이지만, 못을 사용하지 않고 오롯이 기둥 29개로 그 무게를 지탱하고 있다.

탑의 구성은 1층 대웅전, 2층 법보전, 3층 미륵전이다.

법보전에는 윤장대를 중심으로 네 방향에 법화경을 안치했고, 미륵전에는 화려한 금동 보개 아래 미륵삼존불을 모셨다.

윤장대란 축을 달아 회전하도록 만든 책장이다.

2층과 3층 외부에는 탑돌이를 할 수 있도록 난간을 설치했다.

지장전은 건축물 양 끝을 석조건축물처럼 마무리해 고구려 장수총(장수왕릉)을 재현하고자 했다.

산신각은 귀틀집 형식으로, 통나무를 우물정(井)자 모양으로 귀를 맞추고 쌓아 올려 벽을 만든 후 그 위에 너와(기와처럼 쓰이는 나무)지붕을 얹었다.

영산전은 부처가 비구(여자 승려) 500명에게 설법하던 모습을 재현했다.

그 밖에도 와불 열반적정상을 모신 적조전 등 여러 건축물을 조성했다.

보호각에는 보물 404호 '진천 연곡리 석비'가 있다.

본래 논 가운데 있었으나 1964년 보물로 지정되면서 1968년 지금의 자리에 비각을 건립해 석비를 보호하고 있다.

이 비석은 거북 모양의 받침 위에 비석의 몸통 부분을 세우고 머리 부분을 얹은 일반적인 석비 형태로, 비문이 없어 '백비(白碑)'라고도 불린다.

받침돌의 머리 부분은 본래 거북 모양이나, 손상돼 말머리 같은 형태다.

이외에도 비의 규모에 비해 얇은 몸, 옆으로 긴 네모꼴의 머리 형태 등 조형 양식에서 고려 초기 비석의 특징을 띤다.

머리 부분의 용 아홉 마리가 여의주를 물려고 하는 모습 등 조각 양식은 충북 제천시 한수면에 있던 월광사 원랑선사비(1922년 일본으로 반출)와 유사하다.

보탑사만의 특징으로 비구니(여승)만 지내는 점을 들 수 있다.

보탑사를 건축한 승려들은 모두 여승으로, 이후에도 이 사찰에는 비구니만 들였다.

이에 영산전에 부처가 비구 500명에게 설법하던 모습을 재현해 이곳만의 특징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보탑사는 템플스테이를 운영해 일상에서 지친 몸과 마음을 휴식하고 부처의 가르침을 배우는 등의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또 충남교육청에서 대안교육센터로 지정,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고 건전한 청소년을 육성하는 등 불우이웃을 돕는 활동도 하고 있다.

지난 1일 새해를 맞아 찾아온 이들에게 윷놀이, 떡국 먹기, 세배 등 다양한 활동을 준비했다.

능현 주지는 “새해에는 지난 일을 떨쳐내고 새롭게 시작한다는 마음으로 찾아오신 분들이 잘 되길 바란다”고 덕담을 나눴다. 조경민 기자 cho4201@dynews.co.kr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