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우리나라 의료계 전체가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와 관련해 집단 반발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전국 병원에서 의료분야 허리 역할을 맡은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과 근무 중단이 이어져 국민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전공의(專攻醫)는 수련병원과 수련기관에서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수련을 받는 레지던트를 말한다.

인턴은 의사 면허를 받은 사람으로 일정한 수련병원에 전속돼 임상 각 과목 실기를 수련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레지던트는 인턴과정을 이수한 사람 또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이와 동등하다고 인정한 사람으로 일정 수련병원과 수련기관에 전속돼 1과목을 전공으로 수련하는 사람이다.

응급처치가 필요한 환자와 각종 질병을 앓고 있는 질환자들은 당장 전공의 파업과 사직 사태로 병원 수술과 진료에 큰 차질을 빚어 큰 문제점을 낳고 있다.

사실상 전공의들은 병원에서 가장 많은 일을 하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환자들 체크도 전공의 몫이다.

의사들은 전면 파업을 예고하고 있고 대형 병원에서 수술과 진료를 맡은 전공의들은 집단 사직으로 정부 방침에 정면 대결 양상을 보여 해법이 안갯속이다.

강대 강 형국을 보이는 정부 측 입장과 의료계의 구체적인 이해관계를 잘 알지 못하는 국민 처지에서는 처절하리만큼 의료서비스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는 의대 정원 확대를 놓고 각기 다른 해법을 내놓고 있는 실정이다.

국민 처지는 정부와 의료계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이해관계에 끼인 형국이다.

이 같은 사태를 바라보는 국민은 의료계 공백 문제로 인해 일상이 마비됨은 물론 이 문제가 언제쯤 해결되고 풀릴지 불안한 사태를 주시할 수밖에 없어 애를 태우고 있다.

여기에다가 의과대학 학생들까지 집단 휴학을 결의해 ‘불난 데 기름을 부어 버리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의대생 집단 휴학 결정 설문조사에서 대다수 학생이 동참하겠다고 나선 것은 매우 충격적인 결과다.

정부는 “동맹휴학으로 학생들과 국민이 피해받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을 정도까지라고 하니 답답할 노릇이다.

현재 상황에서 정부와 대학이 함께 힘을 모아 학생들의 잘못된 선택이 불이익으로 이어져 이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부가 적극적인 설득작업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어느 정도 효과를 볼지 지켜봐야 할 일이다.

의대 정원 증원은 과거 정부부터 현 정부까지 끊임없이 논의된 사안이다.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의료 전문가 숫자의 비대칭이 문제다.

2006년 이후 의과대 입학 정원은 3000여명으로 고정됐지만, 의료 수요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 의료 격차가 심화하는 상황도 이번 사태의 중심에 있다.

각 지역별 인구와 의사 수 불균형으로 인해 온 국민의 보편적 의료서비스 문제가 불거졌다.

이로 인해 일부 지역은 진료를 받기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게 비일비재하다.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와 ‘소아과 오픈 런’은 다반사로 발생하곤 한다.

이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내놓은 정부 정책이 의대 정원 문제다.

간단히 말해 의료서비스 격차를 줄이고, 필수 의료분야 의사 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다.

그러나 의료계는 반대 의견을 보이고 있다.

의협 측은 의대 증원이 국민 의료비 증가와 서비스 공급 증가로 결국 비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해 국민 부담 가중과 장기적으로는 의대 증원이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누구 말이 맞는지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아야 할 때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