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아침 수업 전과 방과후 오후 8시까지 원하는 초등학생에게 다양한 돌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늘봄학교’가 4일부터 본격 시행에 들어갔다.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1학기에 전국 2741개교에서 시행한 뒤 2학기엔 6000여 모든 초등학교로 확대된다. 내년엔 1~2학년, 2026년부터는 초등 전 학년을 대상으로 확대된다.

충북의 경우 도내 253개 초등학교 중 1학기에 100개(청주34·충주13·제천9·보은3·옥천5·영동3·진천9·괴산증평11·음성8·단양5개) 학교부터 우선 시행되고, 2학기에 모든 학교에서 늘봄학교가 운영된다.

이에 따라 그동안 정규수업 이후 분절적으로 운영되던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와 돌봄은 하나의 체제로 통합됐다.

그동안 초등학생 학부모들은 입학 후 발생하는 돌봄의 어려운 현실과 늘봄학교를 통한 지원이 절실함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충북도교육청은 2학기 전면 시행에 대비해 ‘충북형 늘봄학교 집중지원단 테스크포스(TF)’도 구성했다.

부교육감 단장을 맡아 도교육청과 교육지원청의 예산·인사 등의 부서로 구성한 ‘업무지원단’, 교직원·돌봄전담사 등이 참여한 ‘현장지원단’, 교수·지역 돌봄 전문가 등으로 편성한 ‘전문가 자문단’을 만들었다.

정부는 늘봄학교가 저출생의 주요 해결책이 될 것으로 판단, 시행 시기를 1년 앞당겼다. 자녀 돌봄이 최대 고민인 맞벌이 부부들은 환영하고 있지만, 학교 구성원들은 늘봄학교 업무를 떠맡을 수 있다는 걱정을 쏟아 내고 있다.

준비 기간이 짧고 학교마다 형편이 달라 운영 과정에서 적잖은 혼란도 예상된다.

지난해 시범 운영할 때도 프로그램 강사를 구하지 못해 교사가 이를 대신했다. 특히 소도시나 농어촌 지역에선 여건이 더 어렵다.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과 책임 문제 역시 풀어야 할 과제다.

정부는 현장의 우려를 새겨듣고 늘봄학교를 안착시켜야 한다.

늘봄학교가 성공적으로 안착만 될 수 있다면, 의미가 작지 않은 정책이다. 합계출산율이 전세계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인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저출생의 요인으로 돌봄 공백과 사교육비 부담이 꼽혀 온 현실을 감안할 때 더욱 그렇다.

그동안 초등학교 저학년은 비교적 이른 오후에 정규수업이 끝나면서 맞벌이 가정의 상당수는 한쪽이 일을 그만두거나 자녀를 ‘학원 뺑뺑이’에 맡겨 왔다. 이런 상황에서 둘째, 셋째를 낳는 것은 언감생심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정부는 업무 부담이 기존 교원에게 전가되지 않도록 하겠다며 올 1학기 과도기적으로 2250명의 기간제 교원을 선발해 늘봄학교에 배치하는 등의 대책을 내놨지만, 교사나 행정직 공무원들의 우려는 여전한 분위기다.

정부는 교육부 등 9개 부처 장관과 17개 시·도교육감, 시·도지사 등이 참여하는 ‘늘봄학교 범부처 지원본부’를 구성했다. 지원본부는 주기적으로 현장 상황을 꼼꼼히 챙겨, 시행착오를 줄여야 한다.

안전사고 예방 대책을 다시 점검하고 우수한 인력확보와 교육 공간도 세심히 살펴봐야 한다.

알차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아이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늘봄학교 정책의 성패를 가를 핵심과제다.

늘봄학교 확대 시행 초기 혼선을 최소화하고 꼼꼼히 상황을 모니터링해 보완점이나 문제는 즉시 개선해 나가야 한다.

중앙과 지방정부, 교육당국, 학교 구성원 모두 늘봄학교 정책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