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일보]최근 국제곡물 하락세가 지속되는데도 국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한 달 만에 3%대로 올라섰다. 새해 첫 달 2%대로 잠시 주춤했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3%대에 진입한 것이다. 과일·채소값 폭등이 계속된 데다 국제유가 불안까지 겹친 영향으로 해석된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3.1% 상승했다. 지난해 8∼12월 3%를 웃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1월 2%대로 안정세를 보였지만 한 달 만에 3%대로 올라선 것이다. 구매빈도가 높은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도 지난해 10월 4.5%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 1월(3.4%)까지 상승 폭이 둔화했다. 하지만 넉 달 만에 3.7%로 다시 상승 폭이 커졌다. 과일 같은 신선식품 가격의 급등세 영향이 가장 컸고 국제유가 상승도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가격 변동성이 큰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그나마 2.5% 오르며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품목별로는 사과 가격이 71% 올라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귤도 사과 대체제로 수요가 늘어 78.1%나 상승했다. 전체적으로 신선과실이 41.2%가 올랐다. 1991년 9월(43.9%) 이후 32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라고 한다. 사과값 폭등은 이상기온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 탓이라고 하니 당분간 그 기세가 꺾이긴 힘들어 보인다. 지난해 생산량이 30%나 급감했지만 검역 문제로 외국산 수입조차 원활하지 않다고 한다. 사과나 귤 이외에 배와 딸기 가격도 큰 폭으로 오르긴 마찬가지다. 과일·채소의 가격 급등은 작황 부진에 이유가 있다. 공급이 줄어드니 값이 오르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식품업체들이 원재료 가격 상승을 이유로 올린 제품 가격을 유지하는 것도 문제다. 국제 곡물값이 크게 떨어졌는데도 밀가루ㆍ식용유 등의 가격은 내릴 줄을 모른다.

문제는 이 같은 물가 불안 요인에 대응할 만한 카드가 마땅치 않아 고물가가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물가를 2%대로 다시 안정시키기 위한 각종 재정지원 카드를 꺼내 들었다. 3∼4월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에 600억원을 투입하고, 마트의 수입 과일 직수입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 204억원을 투입해 13개 과일·채소에 납품단가를 지원해 유통업체 판매가격을 내리고 봄 대파 출하 전 대파 3천t에 신규 관세 인하를 결정했다.

이처럼 정부가 마트의 과일 직수입 확대 등 여러 대책을 내놨지만, 당장 체감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소비자가 체험할 수 있는 장바구니 물가는 여전히 하늘 높은 줄 모르고 고공행진을 하고 있으니 말이다. 직수입 과일이 국산 과일의 수요를 곧바로 대체하기란 쉽지 않다. 더욱이 국제원유 가격이 오르는 추세라 물가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회자되고 있다.

여기에 4월 총선을 의식해 유류세 인하 연장과 전기·가스요금 억제 등을 통해 미뤄둔 물가 인상 요인들이 잠재돼 있어 추후 인플레이션 압박은 더 커질 수 있다. 총선 이후 물가가 더 걱정이라는 지적이 벌써부터 나온다.

32년만에 3%대로 상승한 소비자물가를 끌어내리고 서민들의 눈높이에 걸맞은 정부의 지혜로운 대응이 요구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