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간 폭염이 지속되면서 전국 수돗물이 난리가 났다. 악취때문이다. 댐을 상수원으로 하는 대 도시 수돗물은 ‘녹조대란’이라는 연례 행사를 거치는 것이다.

정수시설과 화학약품으로 정제를 하지만 이 녹조현상에 따른 악취를 제거하지 못한채 수돗물을 공급하기 때문이다.

녹조는 식물성플랑크톤의 일종으로 부영양화상태인 호수와 하천에서 많이 발생한다. 인과 질소가 많이 유입되면서 수온이 상승하면 녹조류가 번성하게 된다.

녹조류가 수면을 덮으면 녹조의 광합성으로 수면은 과산소상태가 되지만, 강 또는 호수 바닥은 저 산소 상태가 된다.

녹조가 죽어 하천 바닥에 쌓이게 되면 부패하는 과정에서 산소를 소비해 결과적으로 산소 부족을 가중시킨다.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녹조 등이 부패하면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등 유해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물속에서 공기 방울 같은 것이 나오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하천 생태계에 치명적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산소 부족으로 생태계가 파괴되고 물고기등 이 죽어 떠오르게 된다.

수자원공사와 환경관리공단에서 전문가들이 상수원 댐 상류 지역의 수자원 보호를 위해 천문학적인 재정을 투자하여 정화시설을 갖추고 있으나 이미 오염된 상수원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

날씨 탓을 하고 여론이 잠잠해질 때만 기다릴 뿐이다.

이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청정지역을 자랑하는 보은군이 광역 상수도 공급 계획을 세워 놓고 있다고 한다.

보은지역의 광역 상수도 수원지는 대청댐이다. 이곳도 부영양화에 따른 ‘녹조’는 마찬가지이다.

청정은 맑은 물과 맑은공기를 의미한다. 산골인 보은지역은 피톤치드를 내 뿜는 산림이 울창하고 오염되지 않은 농업용 저수지가 2곳이 증축공사를 하고 있는 중이다.

보은 내북면 궁저수지와 장안면 비룡 저수지이다.

비룡은 상류지역에서 영농을 하고 있지만 궁은 주민들을 보상하고 완전 철거 상태이다. 기존의 저수량 보다 3~4배나 많은 물을 담수하게 되면 해당 지역의 몽리구역에 공급하고도 남는 다고 한다.

이같은 호 조건을 수수방관하고 대도시 주민들로 부터 외면을 받는 광역 상수도를 식수원으로 이용한다는 발상과 행정력의 수준을 의심치 않을수 없다.

보은 군정에서 가장 먼저 해결해야 될 일이 상수원 확보 정책이다.

전국 녹조 대란을 반면교사로 삼아 보은군 상수도 수원지를 지역에서 확보하여 ‘청정보은’을 사수하는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자 한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