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사하는 귀농·귀촌 인구가 크게 늘어 지난해의 두 배 수준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 10일 올해 상반기 동안 귀농·귀촌 인구가 17745(8706가구)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001년 불과 880가구에 머무르던 귀농·귀촌 가구는 2010년부터 해마다 2배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귀농·귀촌 인구도 지난해 1년간 귀농·귀촌 인구(23415·1503가구)에 이미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귀농·귀촌 수요는 주로 하반기에 몰리는 경향이 있다올해 전체로는 지난해 2배를 넘을 것이 확실하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까지 귀농·귀촌 인구를 1년에 한 번만 집계했지만 귀농·귀촌 인구의 급증 등을 고려해 올해부터 상·하반기 두 차례 집계하기로 했다.

연령별로는 50대 귀농·귀촌이 32.0%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24.4%로 뒤를 이었다.

이는 새로운 농업기술을 습득해 농업을 시작할 수 있는 나이가 60세 이하라는 점에서 귀농·귀촌 인구 중 60세 이하 비율이 75%나 되는 것이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귀농·귀촌 인구 가운데 농촌으로 이사한 뒤 농사를 짓는 귀농가구는 4678가구(53.7%)로 절반을 넘었고 전원생활 등을 위해 농촌으로 이동하지만 농사는 짓지 않는 귀촌가구는 4028가구(46.3%)였다.

귀농 후 종사하는 농업 분야 중 생산기술이 상대적으로 단순한 벼농사 등 경종(논밭을 갈고 씨를 뿌리는 것) 분야가 35.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과수(9.0%) 시설원예(6.3%) 축산(2.7%) 순이었다.

귀농·귀촌 이전 가지고 있던 직업은 자영업이 24.6%로 가장 많았고 사무직(18.5%), 생산직(10.8%)이 뒤를 이었다.

농식품부는 최근 이 같은 귀농·귀촌 인구 증가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다양한 문화를 추구하는 사회 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도시에 살다 농촌으로 돌아오는 인구가 늘면서 이들에 대한 대책마련도 필요하다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귀농과 귀촌 지원을 위한 정부차원의 특별법 제정을 비롯한 과감한 지원책이 절실하다. 실제로 농촌에서 주택과 농지를 마련하거나 창업과 사업 진행 과정에서 구태의연한 법률이나 행정적 규제에 막혀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는 특별법이나 그에 준하는 지원 법제를 충실히 갖춰야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귀농·귀촌의 사전·사후 관리에도 신경 써야 한다.

베이비붐 세대 중 은퇴 후 도시에서 자영업에 뛰어들었다가 실패해 곤경에 빠진 이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 비록 농촌에서 일어나지 말라는 법이 없기 때문이다.

지금도 귀농과 귀촌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지자체는 물론 그들을 맞이하는 지역 주민들도 한마음으로 도와줘야 농촌에 거주하는 이들이 마음 놓고 생활할 것이다.

귀농·귀촌을 준비 중인 사람들이 계획적으로 질서 있게 생활할 수 있도록 우리 사회 모두가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동양일보TV

저작권자 © 동양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